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장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행복에 관한 내재적 요인을 파악하여, 행복결정요인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행복에 관한 영향요인은 심리적 안정, 가족의 결혼, 개인적 관계, 일상생활, 경제적 안정, 일, 건강 등 7가지로 김승권 등(2008)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행복에 우선시하는 영향력의 순위를 살펴보았으며, 행복결정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어린이집 교직원이 가장 우선시하고 있는 요인으로 자아 존중 감을 포함한 심리적 안정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경제적 안정, 가족과 결혼생활 만족, 개인의 사회적 관계, 일에 대한 만족, 일상생활의 만족, 주거환경에의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행복결정요인이 직무수행상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심리적 안정과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에 대한 행복결정요인이 어린이집 교직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어린이집에서 보내고 있는 어린이집 교직원의 행복이란 어린이집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과 활동 등이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of childcare staff members working in nursery schools on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by selecting seven influen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elements that affect their happiness, the highest priority to the childcare staff was psychological stability including self-esteem. This was followed by health, econom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the following areas: family and marriage life, personal social relationships, work, daily life and living environmen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liv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it was proven that the happiness determining factor of health had an effect on the quality of improvement in the life of a childcare staff member. Additionally, it was proven that happiness for a childcare giver who spends most of her time in the nursery school meant a more aggressive involvement and the activities help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