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94.92
3.145.94.92
close menu
}
KCI 후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내담자-상담자간 작업동맹 관점에서-
Relationships of involuntary client-counselor during judicial divorce-in terms of working alliance of client-counselor-
이숙영 ( Suk Young Lee )
아동복지연구 8권 2호 23-45(2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50425

본 연구는 재판이혼 중 법원 내 상담실에서 아동과 치료자, 부부와 치료자간의 상담관계 특성과 상담 성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담관계 특성으로 비자발적인 내담자로 구성된 재판이혼 상담관계의 특징과 상담관계에서 내담 아동과, 부부, 치료자간의 상담관계에 대한 상담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재판이혼 중 부모와 함께 상담자에게 상담을 받는 부부와 6세 이상 자녀 총 5가족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의 특징과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에서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고, 이러한 특성이 상담 성과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인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는 내담자 아버지는 목표와 유대가 가장 높았으며, 어머니는 유대를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상담자는 목표, 과제, 유대에서 전반적으로 고른 반응을 보였다. 내담 아동과 -상담자간 상담관계 사전, 사후검사를 살펴본 결과사전보다 사후검사에서 부정적 감정관계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비자발적인 부부와 상담자간 상담 관계에서 상담을 협력하는 관계로 상담 전보다 후에 긍정적인 상담관계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는 상담 초기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많은 내담자이다. 그러므로, 재판 이혼 중 비자발적인 내담자들은 상담자로부터 지지와 공감, 위로 등의 긍정적인 상담관계가 이루어지길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상담관계는 점차로 부정적인 감정이 낮춰지고 자발적으로 부부와 자녀 문제를 상담 하면서 상담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재판 이혼 중 부부와 아동 상담의 필요성을 알게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국가가 재판이혼 과정에서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I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person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nd their children. Also, another purpose is to ascertain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on them by the therapist and how it influences their relationships. These families aren`t spontaneous applicants for counseling.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five familie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including their childre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ing for those families, and how the relationships had changed after the counseling was finish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fathers in those families tends to be oriented towards control and have close ties. The mothers have the close ties tendency as the first value. The therapist appears generally balanced in the test. After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on those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ose childre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showed the posi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since the pre test took pla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ouple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were also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feelings. The study found that those people who are not spontaneous applicants for counseling have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the program at first. Thu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onsole, support and empathize with them when they begin to be counseled by the therapist. By counseling them in this way, the therapist could guide them into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It means that the negative feelings between them can be dispelled, and they can enjoy positive relations. As the counseling proceeded, they become spontaneous applicants for that and it improved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I hope that this study helped the counseling during a judicial divorce to b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the divorce sui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