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인천시를 중섬으로-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장은지 ( Eun Jee Jang ) , 이상희 ( Sang Hee Lee )
UCI I410-ECN-0102-2014-300-00175031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중 국공립 ? 민간 ? 가정 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의 직 무만족도는 어떠한지,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개인 관련 변인(연령, 학력, 경릭)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가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였다 연구대상은 179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빈도분석(상equency analysi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εff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운영주체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국공립 보육교 사는 민간 ? 가정 보육교사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직무자체, 인간관계, 근무환경, 보수, 사회적 인정)에서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다- 즉, 국공 립 보육교사는 5가지 하위요인에서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고 가정 보육교사는 5가지 하위요인에서 가 장 낮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의 개인변인관련에서는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 가 없으나 학력과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았다 가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특히 가정 보육교사에 처우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5가지 중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요인의 1위는 보수, 2위는 근무환경, 3위는 사 회적 인정으로 나타났기에 우선적으로 보수와 근무환경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여러 가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처우개선 부분에서 보육교사들을 위한 복지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보육시설에도 재정적 지원이나 보육프 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서비스가 요구되고, 부모들에게도 보육료 지원이나 육아휴직제 등을 실시하여 누 구나 혜택을 누릴 수 였는 꼭 필요한 보육정책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basic materials for better daycare services based on daycare teachers better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stability. This can be attamed by more effective and high-quality nurturing and education. For this purpose, 179 daycare teacher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follows. First,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aycare center,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Second, for job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sub factor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Thir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teacher is as follows. For changeable factors of general daycare teachers, features in the sex, marriage or non-marnage,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license, type of facilities, and venfied Second, for job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sub factor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Thir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teacher is as follows. For changeable factors of general daycare teachers, features in the sex, marriage or non-marnage,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license, type of facilities, and venfied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form Job satisfaction. Therefore, Improvements of labor conditions which reflect the real work place of daycare teachers should be inspected more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