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양육과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서 아동의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는 치료놀이를 통하여 학대받은 아동 1학년 학대 아동에게 긍정적인 애착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룹홈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대받은 아동 1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주 1회씩 30~4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애착안정성, K-CBCL 사전검사와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과정 중 실험집단 아동의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치료놀이 과정평가표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치료놀이에 참여한 학대받은 아동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서 애착안정성에 있어서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아동들이 치료놀이 실시 후 애착안정성 향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치료놀이에 참여한 학대받은 아동의 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치료놀이 실시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치료놀이 참여한 학대받은 아동의 치료놀이 과정 중 행동변화를 살펴본 경우 초기 세션에서는 타인의 양육에 대해서 거부하고, 신체적인 접촉에 대해서 꺼리는 행동을 나타냈지만, 점차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타인의 양육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타인을 양육해 주는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또 위축되고, 공격적이며 이탈된 행동은 점차 감소하였고, 자기 주장과 또래와의 협동 행동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대받은 아동의 애착안정성이 증진에 집단치료놀이가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다. 따라서 학대받은 아동의 애착안정성 향상에 집단 치료놀이가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bused children in Group Homes form attachment improving through fun and enjoyable group theraplay activities, which will eventually aid them in establishing healthy interaction with others. The program described herein was designed so that abus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1th graders--placed in group homes out of reach of their abusive parents can receive help in forming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theraplay activities that emphasize nurture and physical contac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group theraplay program for improving attachment of children in group hom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in two group homes. Befor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pre-test using the evaluation measures of attachment stability,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was conducted. Also, a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the program. The results from the attachment improv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group theraplay program, the attachment improving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ough the abused children from Group Homes who participated in group theraplay were resistant to receiving nurture and physical contacts in initial sessions, they changed as their self-images underwent a positive transformation, as their acceptance of nurture increased, and as they gradually began to nurture others. In conclusion, the group theraplay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abused children`s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