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어머니-아동 간 상호작용 분석: MIM을 중심으로
Analysis about an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focused on MIM
신현정 ( Hyun Jung Shin )
UCI I410-ECN-0102-2014-300-001749975

본 논문의 목적은 어머니-아동 간 상호작용을 탐색함으로써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치료놀이 체험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치료놀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평가 척도인 MIM을 활용하여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MIM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사용되었다. 치료자가 치료를 위한 객관적 분석의 차원에서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이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이들 상호작용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현상 속에 공통적으로 파악되는 흐름을 알아보고 어머니와 아동 간 상호작용에 통찰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수행되었다. 상담을 받으러 오는 초기 어머니와 아동간 상호작용의 상황을 자세히 드러내기 위해 심층면담과 MIM을 통해 그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연구자가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묵하는 아이 VS 추궁하는 어머니 2) 이기려고만 하는 아이 VS 게임하는 어머니 3) 혼자 노는 아이 VS 혼자 있는 어머니 4) 폭력을 휘두르는 아이 VS 꼼짝 못하는 어머니 현상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들은 적응의 어려움과 조율의 곤란함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동 간 공감의 교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 into exploring the meaning and the understanding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based on my Theraplay experience. For finding the meaning and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I needed to check the status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t the very beginning stage of Theraplay through MIM and in-depth interview. Through data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 could find appearances by an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1) child keeping silence VS mother pressing hard (child) 2) child who should win VS mother playing games 3) child playing alone VS mother being alone 4) child abusing violence VS mother asking leniency As a result of checking over, they had not only difficulty for adjustment but also for attunement. There was little emotional exchange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