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9.236.174
3.139.236.174
close menu
}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nsitivity training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이상희 ( Sang Hee Lee ) , 정민정 ( Min Jung Jung )
아동복지연구 5권 3호 39-57(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9920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수성 훈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감수성 훈련이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것인가와 둘째, 감수성 훈련이 대학생들의 자기의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설계모형은 감수성훈련을 실험적 처치로 하여, 감수성훈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 간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을 비교하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천안에 소재한 N대학교 1곳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실험집단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먼저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문선모(1980)가 Guerney(1977)의 관계 변화 척도를 번안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Fenigstein 등(1975)이 개발한 자기의식검사(Self Consciousness Scale)를 김득란(1980)이 번안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몇 가지 문항을 추가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사전 검사, 감수성훈련 실시,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는데, 2006년 9월 27일부터 11월 28일까지 10주 동안 N대학교 ‘감수성훈련’ 수업시간 중에 10회의 감수성훈련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의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점수의 사전?사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가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통제집단의 대학생들의 자기의식 점수의 사전?사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가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nsitivity Training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The design of experiment for this study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consist 3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in the same university. All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Sensitivity Training-experienced members and control group which had 15 non Sensitivity Training-experienced members. I did Sensitivity Training on experimental group ten times, made certain of the chan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Sensitivity Training,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control group. SPSS(statistic package) was used to analysis collected data, and t-test was employed to kn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showed highly positive change o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2.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showed highly positive change on the score of self-consciousness. As those results,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takes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impro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