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3.58.67.60
13.58.67.60
close menu
}
아동의 성공적 삶을 위한 긍정적 심리학 관점에서의 탄력성
A study of resilience on the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for child``s successful life
전은희 ( Eun Hee Chun )
아동복지연구 4권 4호 141-156(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9748

이 연구는 심리학의 새로운 연구 추세인 긍정적 심리학의 주요 테마로서 자리잡은 탄력성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탄력성으로 정의 내려진 다양한 개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들의 탐색함으로써 아동의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추구하는 아동복지 분야에서의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첫째, 개인의 강점과 미덕을 추구하여 행복한 삶으로 이끌어주는 학문으로서의 긍정적 심리학은 인간의 안녕, 만족, 희망, 낙천주의, 흐름, 그리고 행복 등을 강조하는데, 이는 탄력성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역경을 이겨내는 인간의 긍정적인 정서와 특질에 관한 본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둘째, 탄력성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 그리고 발달상의 적응과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최근에 대두된 개념들로서 환경과 발달과정간의 상호교류적 맥락, 환경속에 살아가는 유기체로서의 역동적인 상태, 역경에 대처하는 개인의 기술과 수준, 그리고 인간이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제도들과의 관계적 측면을 고려한 다중제도적인 현상 등을 확인하였다. 셋째, 탄력성에 관한 다양한 개념들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개인적, 가정적, 환경적 측면에서의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위험한 환경적 여건에 노출되어 있는 취약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에게도 미래의 건강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위하여 탄력성의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아동복지 분야에서 모든 아동의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개입으로서 긍정적 심리학 관점에서의 탄력성을 개발하고 향상, 유지시키는 것의 중요성과 함께 이를 실천적,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to reveal implications about resilience for all child`s successful life in the child welfa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bout resilience, central theme of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new psychological trend. First, it looked around general view about positive psychology as knowledge leading to person`s happy life which is base on strengths and virtues, and then resilience in connection with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related with positive thinking and optimism. Second, it explored various ideas about resilience, which are as trait and capability versus adaptation process of developmental stage. And then identified as recently raised ideas transactional context between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process, individual`s dynamic state, coping skill and degree, and multi systemic phenomenon. Third, although several definitions about resilience, it identified common protective factors as individual, domestic, and environmental dimension, and based on these emphasize importance of promoting resilience not only vulnerable child in high risk environmental condition but also normal child for healthy and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is discussed necessity of intervention as preventive dimension through practical program and its development to advance happy and successful life of all chil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