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정서조절문제 아동의 치료놀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raplay for a Child with Problems in Emotional Regulation
윤정희 ( Jeong Hee Yoon )
UCI I410-ECN-0102-2014-300-001749399

이 연구는 정서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치료놀이를 실시한 사례이다.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은 아동의 정서 발달은 물론 사회성 발달, 부적응 행동과도 관계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다. 치료놀이는 아동의 정서적 수준과 욕구에 맞추고 부모-자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돕는 접근으로 치료놀이를 통한 정서조절에 문제가 있는 아동의 변화 과정과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았다. 아동은 9살 여아로 학교 또래 관계와 갈등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공격성을 나타내었다. 총 27회기의 치료놀이가 매주 1회, 30분 동안 실시되었다. 동시에 어머니는 해석치료자와 모든 회기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관찰과 상담을 하였으며 어머니의 회기 참여도 이루어졌다. 치료놀이를 통하여 아동은 적절한 자기표현이 향상되었고 긍정적인 정서 행동이 증가하였다. 어머니는 아동의 감정을 수용하고 욕구를 인식하여 아동에게 반응하게 되었다. 또한 마샥 상호작용 방법(MIM)으로 평가한 결과,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은 치료놀이 실시 전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조화롭게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개별적으로 아동에게 적합한 치료놀이의 원리를 적용한 활동과 함께 양육자의 치료놀이 참여로 인한 관계와 상호작용의 변화로 정서조절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치료놀이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aplay on a child with problems in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 was a 9-year-old girl with a history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and aggressive behavior. Past studies have illustrated the significance of interaction a caregiver and a child on the child`s emotion develop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her mother in this study was rather insecure. Theraplay is used to focus specifically on child`s emotional level and to promote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In this study, 27 theraplay sessions were performed with once a week frequency. During the theraplay trial period, the mother received consultation from interpreting therapist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raplay sessions. The child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in her ability to regulate emotion and increasingly displayed positive emotion with each theraplay session. Additionally, the mother became more receptive to child`s emotional needs, and thereby developed attuned responsiveness. And the application of Marschak Interaction Method(MI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her mother. Thus, this study supports that theraplay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problems in emotion regul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