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한국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An analysis on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Korea
송주미 ( Ju Mi Song ) , 손현숙 ( Hyun Sook Son )
UCI I410-ECN-0102-2014-300-001749268

본 연구는 한국의 보육정책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Gilbert와Specht(1993)의 정책분석틀을 기준으로 대상(할당), 급여형태, 전달체계, 재원의 네 가지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보육정책은 그 대상의 측면에서 볼 때, 수혜자의 범위는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선택주의의 기준 즉, 저소득층, 장애아동, 영아 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시설 간 지원의 차이를 통해 형평성의 문제를 지니고 있는 바, 보편주의로의 정책방향과 더불어 모든 아동에 대한 보육료의 지원이 실시되어야 함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급여의 형태를 볼 때, 현금급여 즉, 시설별 지원과 보육료 지원의 이중 구조가 지닌 문제를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보육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정부지원시설과미 지원시설 간의 차이를 줄이고, 보육료 지원의 기준을 보다 다양화 하며, 개별가정에 대한 보육료의 지원과 같은 아동수당의 성격을 지닌 양육의 사회화가 보육과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달체계의 측면에서는 담당공무원의 증가 및 전문성의 확보는 물론, 보육정책을 새로이 담당하고 있는 여성가족부의 마인드 정립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보육업무 전반을 담당할 새로운 독립 기구의 설립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재원의 측면에서는 선진국과 비교할 때 앞으로 보육재정은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적절한 배분이 요구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Korea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policy. In order to know the current policy, governmental and regional policy relating child care and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used the analysis framework(model) by Gilbert & Specht(1993) and identified 4 major criteria such as ① object(social allocation), ② social provision ③ delivery system ④ finan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Korea.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yp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was still based on the residual welfare policy for children who needed a support(especially lower class children). It need to be changed into universalism that was focused in every child.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diversity of provision types. The differences of the provision among institutions and the cost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hat parents payed for their children need to be changed. Child care fee, which has been alloted lower than required actual expanses, must be increased. Thir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s as the administrator should be allocated for taking exclusive charge, and as a result, a supporting administration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should be run adequately. Finally an appropriate budget form should be developed under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institutions. More expansion of governmental support, the more requirement of public care will increa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