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1.28.249
3.141.28.249
close menu
}
KCI 후보
The Developmental Interpretation of the Australian Aboriginal Dreamtime Stories Based on Jungian Psychology
장미경 ( Mi Kyung Jang )
UCI I410-ECN-0102-2014-300-001748832

호주 원주민들의 드림타임 이야기는 융학파에서 익숙하게 분석이 이루어져 온 민담, 전설, 신화 등의 서양 이야기와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주 원주민들의 드림타임 이야기에서 자아-자기 발달 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야기를 범주로 분석하면 호주원주민의 드림타임 이야기는 자발적인 민담이 인간의 개성화과정을 보여주는 것처럼 인간정신의 발달과정 즉 인간의 발달과정을 보여준다. 호주원주민의 드림타임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특히 Edinger (1972)와 Neumann(1973)이 제시한 자아-자기발달과정과 일치 한다.

Australian Aboriginal Dreamtime stories are unlike Western stories, whether fairytales, myths, legends, and sagas, which are more familiar to Jungian studies. Nevertheless, the ego-Self developmental stages can be identified in the Dreamtime stories. An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categories revealed that Aboriginal stories present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human psyche just as spontaneous fairytales show the human individuation process, namely the developing process of human beings. The process in the Aboriginal stories corresponds to the development of the ego-Self relationship suggested by Edinger (1972) and Neumann (1973).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