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경력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차이와 그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ㆍ경기 및 기타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주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경력에 따른 인식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의 평가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 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어린이집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 중 직무만족도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구성요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력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전체 하위 요인에 대해 지각 차이를 보이며, 주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 전체와 그 하위 요인별로도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동료 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수와 승진 기회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임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리더십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국한된 연구이므로 일반화하기 어려운바 전국 단위의 연구를 통해 자세한 연구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head teacher`s careers, and to evaluate the extent of its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head teachers who had careers of 1 to 3 years, 60 head teachers who had careers of 3 to 5 years, and 60 head teachers who had careers of over 5 years. All of the head teachers worked for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other areas. To obtain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head teacher`s careers, a modified version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ale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of head teachers, the job satisfaction factor from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was modified and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recognition displayed all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ead teachers was very high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career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relationship with principal, teacher`s duty, working conditions, payment and opportunity for promo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grams for head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However, as this study was mostly limited to areas such as Seoul and Gyeonggi-do, it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a nationwid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