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0.133.1
18.220.133.1
close menu
}
KCI 등재
추강남효온(秋江南孝溫)의 부여회고(夫餘懷古)시 연구
A Study on Chugang(秋江) Nam Hyo-on(南孝溫)`s poem
이동재 ( Dong Jae Lee )
한문고전연구 26권 97-124(28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6502

본고는 추강 남효온의 역사 회고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그가 지은 『부여회고』 시를 살펴보았다.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그가 사위인 李摠과 함께 1491년 전국을 떠돌다가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부여를 유람하며 지은 前後각각 10수씩으로 된 연작시이다. 이 시는 독립된 詩題가 따로 없고 각 시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어서 10수가 한 편의 백제사에 대한 회고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초기에 지어진 백제사에 대한 회고시는 서거정과 같은 훈구문인들은 단순히 弔古의 감정만 들어낸다. 반면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단순히 패망한 백제의 유허지인 부여를 찾아 인간사의 덧없음을 노래한 시보다는 과거의 패망한 역사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의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지은 시이다. 따라서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백제사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詩化한 것이다. 그의 백제사에 대한 이해는 비록 『삼국사기』와 『삼국사기』 의기록을 넘지 못했지만, 史書의 기록을 충실히 따르고 자신의 감정 개입보다는 객관적 진술을 통해 후대의 교훈을 남기려고 하였다. 둘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역사를 단순히 지나간 일을 기록한다는 차원을 넘어 현재를 돌아보고 나아가 미래의 시대에도 어떻게 정도를 걸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즉 그가 成忠과 같은 충신들의 충절에 대한 동일시는 자신의 절의의식과 자신의 희생을 통해 현실의 불의에 항거할 줄 아는 조선의 새로운 문인상을 정립하고자 한 것이다. 셋째,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그가 백제사에 대해 좀 더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지은 시이다. 즉 그는 백제의 멸망을 전적으로 의자왕의 황음무도함에만 두지 않고 당시의 국정을 책임진 신하도 공동의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고, 나아가 백제부흥운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고려와 조선 초기에 지어진 백제 회고시에서 보이는 유일한 새로운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강의 『부여회고』 시는 백제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교훈을 찾으려고 지은 寓意詩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for understanding Chugang Nam Hyo-on`s historical reminiscent poems in general, has taken a look at his created poem ‘Buyeo Hoego (a reminiscence of Buyeo).’ Chugana`s poem, ‘Buyeo Hoego’ is a sequential poem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halves with 10 sub-poems for each half, which he created while doing sightseeing in Buyeo in the middle of his travel over the whole country with his son-in-law, Lee Chong in 1491. This poem can be said to be a reminiscent poem about the history of Baekje with 10 sub-poems as it does not have independent poetic themes for the sub-poems, which in turn are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Hungu literary men like Seo Geo-jeong only expressed simple feelings of condolence in their reminiscent poems about the history of Baekje writt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Contrastively, Chugang`s poem ‘Buyeo Hoego’ was one that was created for seeking a way to solve the real problems in the times, in which he lived from the previous history of falling in Buyeo, a historic site of the fallen Baekje rather than singing the transience of human conditions. Chugang`s poem ‘Buyeo Hoego’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First, the poem is a poeticization of Chugang`s deep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aekje as a whole. Though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aekje did not overcome the records in 『Samgukyusa』 and 『Samgukyusa』, he tried to throughly follow them and leave lessons for the next generations with his objective description rather than with his emotional engagement. Second, Chuganga`s poem ‘Buyeo Hoego’ is an expression of his will to reflect upon the present beyond simply recording past events, and to show further how one should keep his right also in the future. That is to say, his identification of himself with such loyal subjects like Seong Chung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novel figure of literary man who should be able to resist the injustice in reality via his own fidelity and sacrifice. Third, Chugang`s poem ‘Buyeo Hoego’ is one that was created from a fairer and more objectiv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Baekje. That is to say, he did not ascribe the falling of Baekje completely to King Uija`s atrocious boozing and womanizing but recognized that the subjects at that time should share responsibilities as they were in charge of national politics. Furthermore, he thought of the Baekje-reconstruction movement as positive. That was a unique recognition among other reminiscent poems about Baekje created in th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Consequently, Chugang`s ‘Buyeo Hoego’ is an allegoric poem that he created to find out a method or lesson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times in which he lived, via his novel recognition of the history of Baekj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