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영어에서 자립적인 명사어휘가 그 의미-기능적 변화에 의해 자립어휘소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문장 내에서 통사적 구성을 통해 화자의 주관적판단을 투영하는 문법표지어로 발달하는 과정을 문법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영어명사어휘 side와 stead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두항목이 온전한 명사적 지위를 지닌 어휘에서 문맥속에서 다른 어휘항목들과의 결합을 통해 점차 문법적 항목으로 변해 가는 과정을 기능적-의미적 변화현상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의미적 변화현상을 이끈 언어적 동기와 환경적동기, 또한 이러한 일련의 언어변화의 주된 주체인 인간의 언어활동 및 인지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공시적 언어형태 및 의미를 바탕으로 통시적변화과정들을 추론해 보고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명사어휘가 의미적 구체성과 기능적 자립성을 상실하고 통사적 관계 속에서 다른 어휘항목들에 의존해 또다른 기능어로 발전해 가는 현상은 범언어적으로 쉽게 발견되어지는 현상들로, 본 연구에서는 side와 stead가 소유격 구문 [by the side of NP]/[in the stead of NP]에서 자립성을 상실하고 의존명사화 과정 [be.side of NP]/[in.stead of NP]을 거쳐 문법표지어 [beside (of)]/[instead (of)]로 파생되어지는 언어적 환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또한, 문법표지어로 발달한 이 항목들이 어떠한 의미-통사적 범주로 확장되어졌는지, 이러한 의미-통사적 범주변화의 발단이 되는 화용적 전략이 무엇이고 이것이 인간의 인지작용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거쳐 현재의 공시적인 의미와 기능구조를 가지게 되었는지를 문법화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렇듯, 문법표지어로 발달한 이러한 항목들이 주어진 문맥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질 수 있고, 또한 통사적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법표지어들에 대한 학습에 어려움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영어학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어려움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의미-기능적으로 정확하게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다기능-다의어 영어문법표지어들의 학습을 문법화이론에 적용시켜 언어변화가 자의적 현상이 아닌 인간의 인지적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하여 하나의 항목이 지닌 다양한 의미-기능현상이 상호연결관계를 이루어 우리의 인지속에서 의미-기능적 네트웍을 형성한다는 유의적 학습방법 (meaningful learning)을 문법화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에 입각해 영어문법표지어에 나타나는 의미-기능적 다양성을 통시적자료를 통해 원형적 의미와 통사적 발달현상을 살펴보고,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시해 보고, beside 와 instead의 다양한 의미-기능적 발달이 아무런 연관성 없이 그냥 각각 아무렇게나 파생되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담화적 상황과 인지활동에 의해 의미적으로 상호 연관성을 갖고 발달하였다는 점을 밝히고, 이러한 관점에 따른 문법표지어의 다양한 의미-기능에 대한 설명은 언어학습에서 유의적 정보 (meaningful information)로 학습자의 이해를 증대시킬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rammatical evolution of the English lexical nouns side and stead from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English is a dynamic language to exhibit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lexical nouns into grammatical markers (cf. Heine 1997, Svorou 1994). Among many others, some of the forms such as side and stead, which are derived from relational nouns, constitute an intriguing category in that they show peculiar semantic-functional extension patterns. As full-fledged nouns, the items show diverse semantic-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Presentday English as lexical nouns, defective/light nouns, adverbs, and prepositions. In particular, these items functioning as fully lexical nouns and denoting body part or relational concept have become stance markers, more especially, markers representing the pragmatic discourse marking function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each single form as result of the historical pragmatic and cognitive activit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t is largely enabled by the conceptual mechanisms along the image schema (Heine, Claudi, & Hunnemeyer 1991), and also presents an explication of how discourse marking functions are emerged from relational concepts based on the cognitive forces that operate in language use. Finally, this paper illustrates what is an ideal method to learn such versatile markers that have functional-semantic diversity, suggesting the cognitive-oriented model grounded in a grammaticalization theory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models for language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