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3.112.201
3.133.112.201
close menu
}
KCI 등재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의 수정과 확장
The Extended Theory of Emotion as Cognition: Cognitivism Revisited
공유진 ( You Jin Kong )
철학연구 48권 197-224(28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21257

감정을 명제적 믿음 또는 판단으로 정의하는 강한 인지주의는, 믿음 또는 판단과 모순되는 감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에 직면한다. 이러한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지각으로 보는 이론이 더 큰 설득력을 지닌다(1절). 감정을 지각이라고 보는 것은 마치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를 무너뜨리고 비인지주의의 손을 들어주는 것처럼보인다. 지각 자체가 인지적인 것이 아니라 비인지적인 것으로 정의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지각이 인지의 영역 안에 포함된다는 것, 따라서 감정을 지각으로 보는 견해 역시 인지주의의 영역 안에 포함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우선 ‘인지’라는 용어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솔로몬(R. C. Solomon)과 드 수자(R. de Sousa)의 이론을 옹호하고, 그들의 이론을 지각주의적 인지주의라는 명칭으로 정식화할 것이다. 지각주의적 인지주의는 인지 개념을 우리가 세계와 일종의 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으로서 폭넓게 정의한다(2절). 3절에서는 확장된 인지 개념을 뒷받침하는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체현된 인지와 관련된 두 가지 연구결과가 제시될 것이다. (1) 인지의 주된 기능 중 하나인 개념의 처리과정은 지각과 무관하지 않다. (2) 타인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학습하는 사회적 인지과정은 순수하게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에 체현된 형태로 나타난다. 두 연구결과는 지각적이며신체적인 인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에, ‘인지’가 단지 믿음이나 판단뿐만 아니라 지각 또는 체현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인지주의의 이러한 수정과 확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논할 것이다. 수정된 인지주의는 감정 전체를 단순히 어떤한 가지로 환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각적 특성과 명제적 특성을 아우르는 감정의 다양한 속성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

There is strong cognitivism in the theories of emotion, which defenes an emotion as a propositional belief of judgment. Strong cognitivism is untenable when it deals with emotions that exist despite beliefs or judgments inconsistent with them. In clarifying such emotions, viewing an emotion as a perception is more persuasive than viewing it as a belief of judgment (section 1). Viewing an emotion as a perception appears to indicate that the cognitivist view of emotion is beaten by the noncognitivist view, since perception has not been understood as cognition. However, in section 2. I shallargue that perception is included in the domain of cognition, and the view of an emotion as a perception is therefore included in cognitivism as well. To begin with, I will theoretically extend te term "cognition" by defendeng Solomon and de Sousa, and label their theory as perceptualist cognitivism. The perceptualist cognitivism interprets "cognition as activities in which we have some kind of relation with the world. In oredr to bolster the argument, concrete evidence to support the extended concept of cognition will be provided in section 3. Several researches will be focused on to show as fllows: (1) conceptual processing, which is one of the cognitive activities, is not totally free from perception, and (2) social cognition, like learning through imitating others` actions, is to some expent embodied rather than purely abstra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perceptual and embodied cognition, thus implying that cognition can be understood not only as belief and judgment, but also as perception and embodiment. In the last section (section 4), it will be discussed why this revised and extended version of cognitivism is needed. The extended theory of emotion as cognition can appropriately explain various properties of emotion, inluding both propositional ones and perceptual ones, without reducing all emotions to a simple th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