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매출 규모 면에서나 성장성에서 국내 유통시장 내 중요성을 높여가고 있는 국내 면세점의 점포속성을 밝히는데 있다. 면세점을 조사함에 있어 정성조사를 먼저 시행하고 조사대상에서 실무자 비중을 높인 이유는 면세점이 일반 다른 유통채널과는 확연히 다른 차별적 요인을 가지고 있고 실무자들이 그러한 내부적 정보를 가장 잘 알고 있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정성조사를 위한 정보제공자는 면세점에서 구매경험이 있는 22명의 소비자(외국인 12명, 내국인 10명)와 적어도 10년 이상의 면세점 경력을 가진 국내 주요 다섯 개 면세점(롯데, 신라, 동화, 워커힐, JDC) 실무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세점 점포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정성조사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여행객 대상으로 7개의 점포속성 요인(신뢰성, 제품성, 접근성, 경제성, 편의성, 신속성, 추천성)이 도출되었고, 내국인 소비자 대상의 점포속성으로는 5개의 요인(제품성, 촉진, 편의성, 접근성, 경제성)이 도출되었다. 면세점 점포속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비교해볼 때 먼저 외국인 관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파악되지 않았던 여행사나 여행가이드를 통한 추천성과 신뢰성이라는 새로운 요인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내국인의 경우 광고, 홍보에 따른 촉진요인이 차별적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면세점 점포선택에 대한 외국인과 내국인 소비자 간의 의미 있고 중요한 속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다른 유통채널과 확실히 차별되는 요인이 존재한다는 것도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 양적 연구의 토대와 국내 면세점 마케팅 전략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전략수립 초안을 마련했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ore attributes of duty free stores based on qualitative investigation. The reason that the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done before quantitative research in this study is due to a lot of different factors compared to other local distribution channel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22 consumers(12-foreigners, 10-Koreans) who have purchasing experience at duty free stores and 20 hands-on staffs of the main office who had at least 10 years working experience at five duty free stores(Lotte, Shilla, Dongwha, Walkerhill, JDC) were included. The store attributes of duty free stores were drawn up through the one-to-one in-depth interview method. As a result of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ore attributes of duty free store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7 factors in view of foreign consumers - reliability, product, accessibility,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sales speed and suggestion by a tour guide - and that there were 5 factors in view of Koreans consumers- product, promotion,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n comparison with existing preliminary studies, reliability and suggestion by a tour guide were newly discoveredfor foreign travelers and man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foreign and Korean consumers. It was notabl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n store attributes for duty free stores between foreign travelers and Koreans, and distinctions regarding store attributes between local distribution channels and duty free st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