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6.98.210
18.116.98.210
close menu
}
기술노문특집 : 원자력 발전설비의 부식현황 및 대처방안 ; 기술논문 : 원자력 발전소 Alloy 600 부품의 PWSCC-Part 1
PWSCC of Alloy 600 componets in PWRs-Part 1
황성식 ( Seong Sik Hwang )
UCI I410-ECN-0102-2014-500-001841429

Alloy 600 재료의 PWSCC의 개념을 소개하고 그 발생과 전파에 마치는 미세조직, 온도, 응력, 수화학 환경등의 주요인자를 정리하였다. ○PWSCC란 니켈 기지 합금인 Alloy 600와 그 용정재인 Alloy 82/182 재료가 원자로 l차수 환경 에서 보이는 응력부식균열을 의미한다. ○Alloy 600의 PWSCC에 미치는 주요 인자에는 재료의 미세조직, 응력, 온도, 환경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재료의 미세조직이 가장 지배적인 인자이다. ○ 재료내의 탄화물은 탄소 함량과 열처리 조건에 따라 달리 형성되며 입계를 따라 준연속적으로 잘 발달된 입계탄화율을 가지는 재료가 PWSCC 에 저항성을 가진다. ○ 손상속도는 부가 응력의 네 제곱에 비례하여 증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WSCC는 Arrhenius 관계의 열활성화 과정 (thermally detavitca process)이다. ○ 용존수소량에 따라 재료의 부식전위가 정해지는 데 전극전위가 Ni/NiO 평형전위 부근에서 가장 큰 균열 성장 민감도를 보인다는 데는 연구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그러나 균열의 개시에 대한 용존수소량의 영향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