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ECMO 적용 환자에서 항응고제로 Nafamostat mesilate 사용 후 발생한 저나트륨혈증 1예
반태현 , 최준영 , 김재영 , 김경훈 , 이혜연 , 박성균 , 김석찬
UCI I410-ECN-0102-2014-500-00193474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배경: 췌장염 및 파종성 혈관내 응고의 치료, 지속적 신대체 요법과 체외막 산소포화장치에서 항응고제로 사용되는 Nafamostat mesilate는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에 본원에서 ECMO 치료 중 항응고제로 Nafamostat mesilate를 사용하면서 발생하였고, 다른 치료에는 호전되지 않았으나 Nafamostat mesilate 중단 후 호전된 저나트륨혈증의 증례가 발견되었다. 아직 국내에서 Nafamostat mesilate 사용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환자가 보고된 예를 발견하지 못하여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증례: 72세 남자,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고혈압 치료 위해 타병원 내원, 원인에 대한 검사 진행하던 중 특발성 간질성 폐렴과 폐암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폐암에 대하여 폐의 우하엽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특발성 간질성 폐렴의 급성 악화 소견 보여 스테로이드 충격요법 시행하던 중 기흉과 피하기종이 발생하여 치료하였으나 호전되지 않아 본원으로 전원되어 기계호흡하던 중 상태 악화되어 체외막 산소포화장치 시행하였다. 체외막 산소포화장치에 대한 항응고제로 Nafamostat mesilate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후 3일째부터 저나트륨혈증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혈청 및 요 검사 결과에서 약에 의한 가능성이 가장 의심되었으며, 약에 대한 검토 결과 Nafamostat mesilate가 원인으로 의심되어 중단하였다. 중단 후 3일째 환자는 저나트륨혈증에서 회복되었다. 고찰: Nafamostat mesilate는 synthetic serine protease inhibitor로 신장의 cortical collecting duct (CCD)에 작용하여 amiloride-sensitive sodium channel (ENaC)의 작용을 억제한다. 그러면 CCD에서 prostasin 분비가 감소하고 ENaC activity가 억제되어 소변에서 prostasin 분비가 감소하고, sodium의 재흡수가 억제되며 이는 저나트륨혈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Nafamostat mesilate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은 고식적 치료에 불응하여 재발하며 약을 중단함으로써 회복할 수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