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우리나라 한시에서 국화가 어떤 이미지로 인식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지어진 시 가운데, 이를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과 ‘가을 절서의 인식물’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화는 가을을 대표하는 꽃으로서 외면적 자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즉 가을 서리 속에서 꽃을 피우는 국화는 절개와 함께 은자를 상징한다. 이후 문인들에게서는 도덕적 상징으로 선비로서 가져야 되는 하나의 관습적 상징이 되었다. 국화가 갖는 은일적 상징과 도덕적 상징은 우리나라의 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문인들은 다음과 같은 이미지로 이를 시화하고 있다. 첫째,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로 인식하였다. 유학의 영향을 받은 우리 선조들은 벼슬을 그만둘 때에는 자연에 은거하면서 도연명처럼 집안에 국화를 손수 심어서 가꾸었다. 이는 국화가 세찬 바람과 된서리 속에 고고한 자태를 드러내고, 절개를 굳건히 지키는 지사나 충신의 상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인들은 국화를 손수 심고 가꾸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이를 문학의 소재로 차용하여 자신의 고고한 절개, 지조 등을 표현하였다. 둘째,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로 인식하였다. 가을날 국화 옆에서 국화주를 마셨다는 이야기는 굴원의 『이소(離騷) 』에서 출발한다. 이후 한자문화권에서는 9월 9일 중양절에 국화 아래에서 술동이를 두고 술을 마시는 일을 국화준(菊花樽)이라고 하였으니, 일상화된 행사였다. 우리 선조들은 국화를 감상하기 위해 국화주를 마시고, 국화꽃 감상을 핑계로 친구들과 교유를 하였으며, 또는 달밤에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국화를 감상하며 홀로 국화주를 마시고, 이때의 심회를 국화에 붙여 시화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국화는 가을을 상징하는 국화와 음주의 배경으로 노래된 국화와는 그 차별화의 경계가 매우 모호한 관계에 있다. 셋째, ‘가을 절서의 인식물’로 인식하였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자연물, 특히 꽃과 같이 사람들과 친숙한 사물의 변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국화는 음력 9월을 국월(菊月), 국령(菊令), 국추(菊秋)라고 하였듯이 가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또한 가을의 이미지는 결실과 시들어 감[죽음]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시인묵객들은 가을을 통해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느낀다. 그러므로 국화의 이미지는 화자의 처한 위치나 심리상태에 따라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갖고 있다.
Chrysanthemum is a flower representing fall and has not only beauty in exterior look but also a fixed image. In other words, it symbolizes a hermit with fidelity as a flower blooming in autumn frost. Afterwards, it has been a conventional symbol of morality that a classical scholar should have. The symbolism of chrysanthemum as recluse and morality has made great effects on writers in Korea and they have reflected it in their poetry as follows. First, they perceived chrysanthemum as ``Sublimate of noble personality.`` Our ancestors affected by Confucianism grew chrysanthemum at home while living as a hermit in the nature when they left offices like Tau Yan Ming. It is because chrysanthemum has symbolized loyalty of loyal subjects and patriots to keep fidelity as showing its noble look in wild wind and frost. Additionally, writers not only grew chrysanthemum but also used it as a subject of their literature to express their npb;e fidelity and loyalty. Second, they perceived it as ``a medium of drinking and friendship.’The origin of drinking chrysanthemum wine beside chrysanthemum flowerbed in an autumn day tracks back to 『Iso(離騷)』. Afterwards, on Jungyangjeol (the ninthday of the ninth lunar month) people drink wine keeping wine container under chrysanthemum in Chinese cultural zone making it as an customary event called kukhwajun(菊花樽). Our ancestors drank chrysanthemum wine to appreciate chrysanthemum, interacted with friends appreciating chrysanthemum, appreciated chrysanthemum to deal with loneliness at the moon night, and wrote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for chrysanthemum.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distinguish chrysanthemum symbolizing autumn from that as background of wind drinking. Third, they perceived it as ``a representative node order in autumn.`` In Chinese cultural zone, people usually express seasonal changes as changes in the nature such as flowers which are familiar with people. Chrysenthemum (Kukhwa in Korean) is the representative flower of fall calling the ninth lunar month as Kukwol, Kukryeong and Kukchu. Additionally, as autumn had images of harvest and being withering [death], poets and painters felt delight and hollowness together in fall. Therefore, the image of chrysanthemum has delight and hollownes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sychology of the sp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