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에도 조선왕조실록과 마찬가지로 역대 실록이 편찬되고 있었다. 현종대 황주량이 찬집한 7대실록에서부터 조선건국 후 태조대에 편찬한 공민-공양왕실록에 이르기까지 고려왕조실록이 구비되어 있었다. 이들 고려왕조실록은 『고려사』 편찬 당시까지 남아 있어 『고려사』 편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황주량의 7대실록은 태조에서 목종대까지 7대의 실록을 한꺼번에 편찬한 것으로, 고려 최초의 실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7대실록은 거란 침공에 따라 궁궐에 보관 중이던 서적이 모두 소실됨으로써, 그 수습 복구 차원에서 왕명으로 편찬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이 고려 최초의 실록이었는지 의문이다. 단편적으로 전하는 『태조실록』의 기사를 검토하고, 목종대까지 『고려사』의 왕대별 기사의 양을 비교 분석한 결과, 황주량의 7대실록은 고려 최초의 실록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대실록은 그 이전에 이미 편찬된 태조대에서 경종대에 이르는 5대실록이 소실되었거나 흩어짐으로써 이를 다시 수집 편찬하고, 여기에 『성종실록』과 『목종실록』을 최초로 편찬하여 이를 합쳐 이렇게 부른 것이다. 경종대에 이르는 5대실록은 성종대에 수찬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사관으로 활동했던 인물의 등장은 광종대부터 확인되지만, 이 시기에 실록 편찬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웠을 것이고 성종대가 가장 실록 편찬에 적합한 시기였다. 성종대에 사관의 활동이 자주 보이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에서 실록 등 사서 편찬 정보도 많이 확보하면서 고려실록의 편찬 작업을 구체화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종대 실록 편찬작업이 완료된 시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대체로 성종 13년 경이 아닐까 추정된다.
Successive chronicles had been compiled in the Koryo era like The True Record of the Choson Dynasty. These True Records of the Koryo dynasty had existed until the compilation of Koryo History『高麗史』 and used as database for compiling Koryo History. Seven Chronicles(七代實錄) edited by Hwang Juryang(黃周亮) is considered the first true record of Koryo dynasty. However, it is open to question whether the chronicle is the first record of Koryo dynasty or not. Because the original version in court for safekeeping was destroyed by fire on account of the Kitan invasion and later it was compiled by royal order for the purpose of its resto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scriptions in the true record on Taejo(太祖) of which fragmentary documents only were handed down among Seven Chronicles and to compare the quantity of descriptions classified by kings in Koryo History until king Mokjong(穆宗).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shar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ongjong reign. This means that Seven Chronicles consists of Five Chronicles(五代實錄) which had already been compiled before king Seongjong(成宗), the true record concerning him which had been compiled in the Hyeonjong reign and the true record on Mokjon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even Chronicles edited by Hwang Juryang is not the first true record of Koryo dynasty. Five Chronicles is generally thought to be edited in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is guessed that the compiling chronicles of Koryo dynasty would be realized judging from the facts that chroniclers frequently did their jobs in the time of King Seongjong and that they obtained much information for compiling chronicles from China through interchange with her. It is not certain when the compiling project of Five Chronicles had completed, but the date is presumed around the thirteenth year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