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장애학생 대상 자기관리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n Efficacy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미아 ( Mi A Lee ) , 김정은 ( Jung Eun Kim ) ,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UCI I410-ECN-0102-2014-300-001627027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장애학생 대상 자기관리 전략을 적용한 중다 기초선 연구들의 효과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과 메타분석을 통해 증거 기반 교육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ㄱ) 2003∼2012년 사이에 관련 저널에 게재된 논문, (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ㄷ)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ㄹ) 독립변인의 효과가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시된 논문의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8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주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5%였으며, 평균 연령은 14.65세였으며, 지적장애와 자폐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의 72%가 증가표적행동을 목표행동으로 하였으며, 자기관리전략들을 결합한 형태가 많았다. 중재는 학교장면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목표행동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수집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78%가 관찰자간/평정자간 신뢰도 데이터를 제시하였으나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자료는 22%만이 제공하였다. 모든 연구들이 유지데이터를 제시하였으나 일반화를 적용하고 결과를 보고한 경우는 22%에 그쳤다. 마지막으로 증가표적행동에 대한 PND 값은 자기관리 전략이 장애학생의 학업 및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바람직한 행동 증가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보여주었다. 반면, 감소표적행동에 대한 PZD 값은 자기관리 전략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ies conducted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e examined 18 single-subject research articles conducted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between 2003-2012 studies. Descriptive analysis and a meta-analysis were used. Through the descriptive analysis we found that Mean age the subject was 14.65 and 45% of them were attending at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in 61% of the studies. 72% of the studies focused on increasing appropriate behaviors. Analysis revealed that 61.1% of the used self-management packages that included prompts, self-monitoring, self-instruction, self-reinforcement. 72%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chools. Data collection techniqu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arget behaviors. In 78% of the studies,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or inter rater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However in 22% of the studies, social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It was found that 22% of the studies collect generalization data. The PND score obtained in the studies that examined was found as 99.32% on average for the behaviors that were wished to be increase, compared with PZD score an average of 5.58% for the behaviors that were desired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PND and PZD scores, self-management strategies are an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appropriate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ut they are ineffective for decreasing the undesirable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