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유치원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Knowledge on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Perception on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박계신 ( Gye Shin Park )
UCI I410-ECN-0102-2014-300-001627012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G시 교육청 산하 총 70개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3년 이상의 현직 유치원 교사들 70명을 대상으로 자폐성 장애의 특성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자폐성 장애의 원인론, 장애 특성 및 효과적인 중재 방법에 대해 제한된 지식을 지니고 있었고, 몇 가지 오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인식과 오개념 형성에도 불구하고, 유치원 교사들은 장애유아나 자폐성 장애유아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대체로 높았고, 자폐성 장애유아의 일반 유치원 내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교사들은 성공적인 통합 교육을 위한 요인으로 보조교사 지원과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촉진의 필요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의 개방형 질문 응답들은 질문지 분석 결과를 지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자폐성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 교육의 방향성과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Limited research exists on preschool teachers` knowledge on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nd their perception on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AD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In this preliminary study, Knowledge and perception of 70 preschool teachers at G city were surveyed. Results indicated preschool teachers lacked knowledge and held basic misconceptions about etiology,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D. Despite these lacked knowledge and misconceptions, preschool teachers believed that even teachers without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rrier could teac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 or ASD and their perception toward inclusive education of preschooler with ASD was generally positive. Preschool teachers strongly agreed that teacher assistant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ive inclusion. Description of Open-ended questions support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and related research were presen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