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현생 응력하에서 단층 마찰계수에 따른 임곡단층의 거동 가능성 해석
Friction-dependent slip Behavior of Imgok Fault under the Present-day Stress Field
나현우 ( Hyun Woo Na ) , 장찬동 ( Chan Dong Chang ) , 장천중 ( Chun Joong Chang )
지질공학 23권 3호 217-225(9pages)
DOI 10.9720/kseg.2013.3.217
UCI I410-ECN-0102-2014-500-001804802

강릉지역의 NNE-SSW 주향을 갖는 선형구조(임곡단층)를 대상으로, ASTER 영상과 항공사진을 이용한 구조 영상 분석과 야외지질조사를 통해 단층의 기하 및 운동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단층의 지질역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생 응력장 하에서 임곡단층의 운동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된 주변 지진자료는 이 지역의 현생 최대응력방향이 약 N70°E이며 주향이동과 역단층 운동에 유리한 응력상태임을 보여준다. 현생 응력장 하에서 임곡단층이 운동하기에는 최적의 방향에서 오차 범위 밖의 주향을 보여 전단 성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단층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마찰계수(μ)가 상당히 낮을 경우(예를 들어 0.25 이하) 현생 응력장 하에서도 운동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We carried out geometrical, kinematic, and geomechanical analyses on a lineament (the Imgok fault) near Gang-neung, observed in ASTER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s. Earthquake focal mechanism solutions, used to estimate the present-day stress state. revealed that the direction of maximum compression is approximately N70°E and that the stress condition is in favor of either strike-slip or reverse movement on the fault. The strike of the fault is not ideal for slip under the present-day stress field and thus the fault has a low slip tendency. However, the fault may be able to slip if the frictional coefficient (μ), representing the resistance of the fault to slip, is sufficiently low (e.g., μ<0.25).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