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가지는 정서적 신뢰와 부부관계의 질적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57명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 기혼여성이 관계 내에서 경험하는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부부관계의 질을 알아보는 부부 적응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함께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갖는 정서적 신뢰,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부부관계의 질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변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여성이 갖는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은 자녀유무, 연령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취업유무로 본 결과 취업주부의 유능성 욕구 충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갖는 정서적 신뢰와 부부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로 영향을 미쳤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의 하위변인에서는 관계성 욕구 충족이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을 매개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질, 즉 관계만족과 적응을 위해서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가지는 정서적 신뢰와 관계 내에서 경험하는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의 기본 심리적 욕구의 충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liance on their spouses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 total of 257 married women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emotional relia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i.e. age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However, employed women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mpetence which is one of sub-constru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Lastly, the results reveal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liance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for married wome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