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aning of work and experiences of career decis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화매향 ( Mae Hyang Hwang ) , 조효진 ( Hyo Jin Cho ) , 조윤진 ( Yoon Jin Cho ) , 방지원 ( Ji Won Bang )
UCI I410-ECN-0102-2014-100-00151264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기로의 진입을 위한 과제로 실질적인 진로 탐색과 결정을 이루어가는 한국 대학생들의 일의 의미와 진로 탐색 및 결정의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의 의미 및 진로에 대한 탐색과 결정은 어떠한 경험과 환경 요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있는지를 대학생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서울시내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6개 그룹, 총 27명에 대해 포커스 그룹(Focus group)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에 근거하여 주요 영역과 범주로 유목화 하는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일의 의미``, ``진로 결정 과정에서의 경험``, 이라는 2개의 영역과 그에 따른 16개의 하위 범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의 다양한 의미가 도출되었으나, 응답은 대체로 경제적 보상, 사회적 인정과 같은 외적인 차원에 집중되었다. 대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해 가는 과정에서 부모님으로부터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었고, 그 외 타인과의 상호작용, 다양한 경험, 자신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통해 진로를 결정해 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work, process of career seeking and career decis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substantial career seeking and decision process as a task for entering adulthood. To identify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6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7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atte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ommon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by classifying the primary 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meaning of work``, ``experience while on career path development``, and ``influences from family`` were determined as 3 primary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also gained. Responses were mainly focused on peripheral aspects such as financial rewards and social acknowledgement in general.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largely affected by family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y determine their career identit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various experience, self-exploration and self-comprehens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further studies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 for university stud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