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뇌사추정자 주치의의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 의뢰 및 발굴 경험에 대한 연구
Effect of Caring for Potential Brain Death Organ Donors during the Organ Donation Process upon Physician Attitudes
김순일 ( Soon Il Kim ) , 전경옥 ( Kyung Ok Jeon ) , 손선영 ( Sun Young Son )
UCI I410-ECN-0102-2014-500-00207264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뇌사추정자를 담당하는 주치의가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을 의뢰하는 과정의 경험과정을 근거이론방법을 이용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부산 지역의 종합병원 및 준종합병원에서 뇌사추정자를 담당하고 뇌사자 발굴을 경험한 신경외과, 응급의학과 의사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면담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의사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뇌사추정자주치의가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을 의뢰하는 과정의 경험의 핵심범주는 장기기증 권유의 갈림길에서 장기기증 설명 요령 터득하기로 확인되었다. 이에 영향을 주는 인과적 요인은 장기기증 설명 시도는 나의 책임, 부담스러운 뇌사상태 선언, 번거로운 장기기증 과정, 가족 상담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요인으로는 의사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으로 확인되었다. 중재적 요인으로는 기증자가 존중받지 못하는 현장, 뇌사기증자 이송팀의 태도, 주치의와 기관에 대한 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장기기증 설명 의지 가짐, 기증자와 가족 파악하기, 장기기증 언급시점 살펴 설명 시도하기로 확인되었으며, 그 결과 장기기증 상담 요령 터득하기가 확인되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 of physicians stemming from their experiences of caring for potential brain death donors during the organ donation process. Method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hysicians who had experience of management of potential brain death donor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anuary to October 2011. Theoretical sampling was used until the data reached satur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lemma of organ donation solicitation was identified as the core category. Twelve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integrated to the core category. Obtaining organ donation counseling skills was identified as the consequ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frame for understanding the attitudes stemming from their experience of caring for potential brain death donor and helping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ncreasing organ don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