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 가정 어머니를 위한 양육 지원 프로그램 효과 연구: 모자 치료놀이의 적용
The effects of a parenting support program based on Theraplay for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정계숙 ( Kai Sook Chung ) , 고은경 ( Eun Kyoung Goh ) , 차지량 ( Ji Ryang Cha ) , 박희경 ( Hee Kyung Park )
UCI I410-ECN-0102-2014-300-0020504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치료 놀이를 적용한 양육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체 4쌍의 모자에게 총 15회기 프로그램 활동을 가정과 기관에서 실시하고, 유지기에 다시 가정과 기관에서 중재기와 같은 방법으로 3회기의 활동을 추가 실시하면서 어머니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사전에서부터 유지기 까지 양육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시기별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평 가하기 위해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평정도구(MBRS)로 총 12회기를 평정하였다.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을 받은 후 어머니들은 개인차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양육효능감이 높아 졌고, 양육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examines the efficacy of using a parenting support program based on Theraplay for multi-cultural mothers and their children. Four mother-child dyads participated in a program consisting of center-and home-based Theraplay activities and parental education for 60 to 80 minutes per week for 15 weeks. The K-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and Parenting Efficacy Scale were applied 12 and 4 times respectively from the pre-test to the maintaining period-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s of change, the program did enhance positive maternal behavior an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methodology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based family support programs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