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Candidate
지역축제의 성공적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주요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ful inducement plan of Local Festival -Focused on Comparison of Major cases-
김형대 ( Hyoung Dae Kim ) , 전형원 ( Hyeong Won Jun ) , 노선희 ( Sun Hee Rho )
UCI I410-ECN-0102-2014-300-002080146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의 축제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의 성공 혹은 실패요인이 미래 우리지역축제의 기획 및 유치단계에 도움을 주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시작하였다. 축제의 개발에는 많은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의 자연환경, 지역사회의 문화적 특성, 산업의 특성, 경제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상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축제를 유치했을때의 다양한 효과와 갈등요인들을 시뮬레이션해가며 계획하고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지역축제의 개발은 지역의 자연환경, 문화, 산업, 경제등 지역사회 상호의존관계에 충돌함이 없이 충분히 배려하여 그 조화를 유지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하여 일회성축제가 아닌 향후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의 개발, 그리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premium tourism. To achieve above purposes of this study, scenarios for premium tourism have been established, by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n empirical study, basic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nd LOHAS quotient and social stratum indicator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modeling and valuation of premium tourism was conducted by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premium tourism, the willingness to pay was KRW 1,257,000.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