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전래동화 <콩쥐 팥쥐>의 형성과정
Formation of the Fairy Tale
권순긍 ( Sun Keung Kwon )
민족문학사연구 vol. 52 110-141(32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487153

전래동화 <콩쥐 팥쥐>는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정착됐다. 소설 <콩쥐팥쥐전>을 토대로 동화가 재화된 경우와, 혼인담이 없는 승천담과 혼인담이 포함된 선악대립형 민담에서 각각 전래동화로 재화된 경우다. 첫 번째 경우는 1936년 전영택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두 번째 경우는 1926년 심의린에 의해 처음 재화되었고 박홍근, 이원수, 손동인으로 이어졌다. 세번째 경우는 1918년에 전북에서 채록한 민담을 토대로 1971년 임석재에 의해 재화되었다. 소설가였던 전영택의 <콩쥐와 팥쥐>는 경어투 입말체를 사용하여 거칠거나 잔혹한 부분을 제외시키고, 생동감 있는 묘사력을 통해 아이들에 맞는 전래동화의 전범을 제시하였다. 이는 방정환의 ‘영원한 아동성’에 입각한 것으로 개신교 목사이기도 했던 재화자의 입장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보통학교 훈도이자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을 편찬했던 심의린의 <콩쥐팥쥐>는 혼인담이 빠진 콩쥐의 승천담으로 전래동화를 재화했다. 이 동화를 통해 착한 사람은 하늘의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인과응보적인 교훈성을 강조했다. 게다가 논평적 서술방식을 활용하고 정확한 어휘를 사용하는 등 객관성을 유지하였으며 격한 감정을 토로하는 부분에서는 판소리투의 사설을 활용하기도 했다. 한편 심의린의 동화구조를 그대로 계승한 이원수의 동화는 어린이의 수준에 맞게 문학적 수식이나 세부묘사에 공을 들여 훨씬 현실감 있고 아름다운 문장으로 서술하였다. 자신이 채록한 민담을 토대로 1971년 동화로 재화한 임석재의 <콩쥐 팥쥐>는 어느 작품보다도 민담적 특징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재화하는 과정에서 민담의 원형을 그대로 재현했기 때문이다. 암소의 항문에서 음식이 나온다거나 콩쥐/ 팥쥐의 선악대립이 두드러진다거나 발가락이나 발 양옆을 자르는 잔혹함을 보이거나 팥쥐가 오면 문을 열어주지 마라는 금기가 제시되기도 했다. 세 종류의 동화는 각기 종교적 지향이나 교훈성과 사실성, 민담적 사유방식을 두드러지게 드러내 보인다. 하지만 전래동화 <콩쥐 팥쥐>가 정전화(正典化)되는 과정에서 ‘영원한 아동성’에 입각한 전영택의 동화가 정전으로 자리잡게 된다.

The fairy tales were settled through three ways. First, Jeon Yeong-Taek rewrote from the fiction in 1936. Second, Sim Ui-Lin rewrote it from the fairy tales without marriage stories in 1926, Park Hong-Keun and Yi Won-Su and Son Dong-In revised it. Third, Im Seok-Jae made it in 1971, which was based on folk tales of Jeonbuk Province in 1918. Honorific spoken style was used in written by a novelist Jeon Yeong-Taek. Rough and brutal parts were excluded and vivid depiction was included in . These show an example of fairy tales. On the basis of Bang Jeong-Hwan`s eternal childhood, it is consistent with Jeon Yeong-Taek`s position, a Protestant pastor. Sim Ui-Lin, who was a primary school teacher and an editor of Korean Dictionary, rewrote the fairy tales without marriage stories. It emphasized that good men received blessing and bad men suffered a punishment. In addition, he utilized a storytelling of Pansori in . Meanwhile, Yi Won-Su inherited Sim Ui-Lin`s structure of fairy tales. Since Yi Won-Su elaborated literary expressions and descriptions, he made much realistic and beautiful sentences. This is the way of realistic fairy tales, which is his methodology. Based on the folk tales collected by Im Seok-Jae, his , published in 1971, has more folklore characteristics than any works. This is because it reproduces the original form of folklore. Three types of fairy tales illustrate religious directions, lessons, realities, and the way of thinking appearing in fairy tales. However, in the formation of the fairy tales , Jeon Yeong-Taek`s work, based on the eternal childhood, has become a canon of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