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Candidate
뇌졸중 환자의 시선 방향 조절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sual Direction Control on Balance and Gait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권혜림 ( Hye Rim Kwon ) , 신원섭 ( Won Seob Shin )
UCI I410-ECN-0102-2014-500-001954705

본 연구는 안정적 균형과 보행을 목적으로 뇌졸중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선조절이 뇌졸중 환자 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정적 균형검사에서 총 동요거리, 좌 우 동요거리, 평균속도가 정면보기와 비교하여 마비측 보기와 비마비측 보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행에 서의 결과는 시선을 고정한 상태로 10m 보행 속도 평가 에서 정면보기, 바닥보기, 비마비측보기의 보행속도가 마비측보기의 속도보다 유의하게 빨랐다. 시선 분산의 10m 보행속도 평가 결과는 수평면 상에서의 시선이동 시 시선을 1m 간격, 2m 간격, 5m 간격으로 빠르게 변화 시킨 순으로 각각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빠르게 나타났다. 시상면에서는 시선이동 시에 시선을 1m 간격으로 빠르게 변화시킨 경우가 2m 간격, 5m 간격으로 변화시킨 경우보다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의 시선분산이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과 보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control on gait speed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Static balance and gait speed were investigated with comparison and fixed direction of visual. METHODS: We included twenty-six patients with stroke. Participants were measured static balance while standing on a forceplate with one of 4 different visual direction in front, floor, non-affected side and affected side for 30 seconds. To compare of the gait speed, participants had to walk with one of fixed visual direction. And to compare of gait speed with visual dispersion, gait speed were measured with visual change in left and right, up and down direction every 5m, 2m and 1m intervals. RESULTS: The result of the static balance with fixed visual showed that the affected side and the non-affected side were shown significantly increased sway of total sway length, mediolateral distance, anteroposterior distance, average velocity(p<.05). The gait speed with fixed visual showed that affected side was significantly slower (p<.05). And the gait speed significantly increased as interval of visual dispersion decrease in the sagittal and horizontal plane (p<.05).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visual direction effected on static balance and the faster visual movement made to increase the gait speed. Therefor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visual control may be implemented for stroke pati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