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일본 내각문고와 호사문고에 소장된 『대명률직해』의 서지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reprint of possessed at Naikaku`s collections(內閣文庫) and at Hosa`s collection(蓬左文庫) in Japan
장경준 ( Kyong Jun Chang )
어문논집 68권 329-356(28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496194

大明律直解(대명률직해)는 명나라의 법전인 大明律(대명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吏讀(이두)로 번역한 이두 자료의 寶庫(보고)이다. 1395년에 간행한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이후의 중간본만 전하는데 異本(이본)에 따라 미세한 텍스트의 차이를 보여 이본의 계통을 파악하고 텍스트의 校勘(교감)을 통해 定本(정본)을 확립 할 필요가 있다. 여러 이본 가운데 일본 內閣文庫(내각문고)와 호사문고(蓬左文庫) 소장본은 원본이 일본에 있어 접근이 어려운 것들인데, 필자는 이것들을 촬영한 마이크로필름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있음을 최근에 확인하고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내각문고본은 고려대 晩松文庫(만송문고)소장본과 동일 판본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러나 만송문고본이 더 후쇄본일 가능성이 있으며, 제책 과정에서 각각 4책과 5책으로 묶은 것 이외에 목록의 배열 순서가 다르고 만송문고본에는 일부 결락이 있다는 점을 새로 밝혔다. 또한 攷事撮要(고사촬요)의 책판목록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이 1550년대 광주판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1546년 공주에 서 開版(개판)한 중간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그리고 호사문고본은 권차에 따라 版式(판식)이 일정하지 않아 형태상으로 불 완전하지만, 텍스트를 대교해 본 결과 선행 연구의 기술과 달리 내각문고본이나 만송문고본보다 오히려 誤字(오자)가 적은 善本(선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호 사문고본은 같은 계통인 고마자와대학본과 함께 앞으로 대명률직해의 定本(정본)을 확정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was first published in 1395, and is a Idu(吏讀)-translated version of adapted for circumstance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the reprint possessed at Naikaku`s collection of books(內閣文庫) and the reprint housed at Hosa`s collection of books(蓬左文庫) in Japan, kept as microfilm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Seoul, among a number of different reprints(異本) of . This study reconfirm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which is that the reprint possessed at Naikaku`s collection of books(the following: Naikaku) is identical to the reprint hou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of Korea University Library in Korea(晩松文庫).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print hou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the following: Mansong) has possibility to be later edition than the version of Naikaku and the edition housed at Hosa`s collection of books (the following: Hosa) and the version of Mansong was separately bound as 4 volumes or 5 volumes in the bookbinding process. Besides, the sequence of table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version of ManSong is different and it had partly drop-out. Furthermore, it has a bare chance to be ``edition of Gwangju province in the 1550s``. Instead of that, there is great potential to be reprint published, which is revised edition in Gongju province in 1546 upon further review about catalog of Kosachalyo(攷事撮要). Although the printing style of Hosa version is irregular and imperfect on physical traits, otherwise the advanced research described it, it is better edition, which has less errors than the versions of the Naikaku and the Mansong. Therefore, it is newly proved that the version of Hosa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material to determine the corrected edition of Daemyeongryul-Jikha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