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지』는 1900년대 초반(1905~1915년)의 천안을 배경으로 하여 몰락 일로에 놓여 있는 전통적 양반세력인 유경준과 식민 자본주의에 편승해 새롭게 성장한 하감역 두 계층 사이의 대립 갈등을 통해 농촌 사회에서 진행되는 식민지적 근대화의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농촌소설의 계보를 잇는 『신개지』는 이기영의 다른 작품들과 비교할 때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총체성을 구현하지 못한 실패작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이유는, 첫째, 『신개지』의 창작배경이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1920년대가 아니라 1905~1915년 이라는 점, 둘째, 일제의 군국주의화가 강화되고 탄압이 심해진 1930년대 후반(1938년)에 발표된 작품이라는 점에 근거한다. 『신개지』의 창작배경이 1905~1915년이라는 근거로 철도개통과 금광채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천안에 경부선이 개통된 시기가 1905년이고 『신개지』 작품 도입부가 철도개통과 함께 전개되는데 기인한다. 금광채굴과 관련해서도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는데, 다른 지역과는 달리 천안 일대 금광(砂金鑛)이 번성한 시기가 1906년 전후라는 역사적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기존의 『신개지』에 대한 연구가 1920년대 후반으로 상정하고 진행되었지만, 그 이전인 1905~1915년으로 바로잡았을 때, 식민지화 되어가는 초기의 조선 현실을 형상화한다는 측면에서 『신개지』의 문학사적 위상은 확연히 달라지게 된다. 즉 당시만 해도 일제의 지방통치를 위한 정비가 한창 구축되는 과정이었고, 농민들을 기한부 소작농으로 전락시킨 토지조사사업이 아직 완결되기 전으로 3.1운동 이후에 전개된 농민운동과 같은 집단적 움직임이 자리잡지 못했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고향』과 비교하여 실패작이라고 치부된 『신개지』의 비판적 견해들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시대적 분위기, 즉 1910년 전후의 조선 현실을 이해한 상태에서 작품 분석에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Singaeji" Taking advantage of the colonial capitalism and Yugyonjun traditional Yangban forces continue to fall in the background Cheonan early 1900s (1905-1910 years) were newly grown, and translated by it is a work that shape up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of rural society goes underway through conflict conflict between the two layers. Take over the genealogy of the novel of rural "Singaeji", as compared with the other works of Lee Ki-young, evaluation of failure that do not realize the oneness of socialist realism is the dominant. However, it`s not possible to agree fully with these discussions, is that rather than the 1920`s, when researchers existing presented, creative background "Singaeji" is, of 1905-1910 a year. In addition, the late 1930s when the oppression became violently militarism of Japan is enhanced, (in 1938), and in terms of the work that has been announced at this time, we have to consider the age situation. Creative background "Singaeji" will be deployed along with the railway opening work early to evidence that 1905-1910 years, it can be found in that time the Gyeongbu-line was opened in Cheonan of 1905. Even in conjunction with gold mining, you can find the basis thereof, but a thriving time is around 1906 Cheonan region gold (gold dust 광). In this way, the era atmosphere of the time, that is, if you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 in the early 1900, a person positive or delineate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the real problems of work when you correc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itself to shape mosquito is impossible. Alone 3.1 before exercise, Korean society,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t is a transition period before the anti-Japanes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is firmly established yet. Therefore, considering the presentation time of the work, it is intended intended writer through the work should be re-recognized something, it is believed that at this time, appropriate evaluation of "Singaeji" and will b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