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에 따라 실제 수퍼비전 회기에서 나타나는 수퍼비전의 과업 과 기능, 수퍼바이저의 발달수준과 수행수준, 그리고 수퍼비전 성과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olloway(1995)의 수퍼비전의 체계적 모델(System Approach to Supervision: SAS Model)의 수퍼비전의 과업과 기능의 틀을 사용하여 19쌍의 실제 수퍼비전 사례에서 수퍼바이저의 언어 반응을 분석하였으며, 수퍼바이저가 지각한 수퍼바이저 발달수준과 수퍼비전 수행수준, 그리고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만족도와 수퍼비전 회기평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숙련 수퍼바이저 집단과 초보 수퍼바이저 집단 모두 상담기술, 사례 개념화의 과업을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이는 주로 지도와 조언의 기능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경력에 따른 차 이를 볼때, 전문적 역할, 수퍼비전 구조화의 과업 영역과 모델링의 기능 영역에서 초보 수퍼바이저 집단이 숙련 수퍼바이저 집단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숙련 수퍼바이저 집단은 초보 수퍼바이저 집단에 비해 수퍼바이저 발달 수준, 효과적인 수퍼비전 수행을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만족도와 회기평가에 있어서 숙련 수퍼바이저 집단이 초보 수퍼바이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연구와 수퍼비전 실제를 위한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advanced supervisors and novice supervisors in supervision task and function, supervis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d supervision outcom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19 supervision cases using Holloway`s model, As the results, counseling skills and case conceptualization were most frequently dealt by instructing/advising for both advanced supervisors and novice supervisor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4 tasks and 4 functions· However, novice supervisors more focused on professional roles and supervision structure and used modeling more frequently than advanced supervisors· The levels of supervisor development and supervision performance were higher than those of novice supervisors· Also, the advanced supervisors` level of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session evaluation perceived by the supervisees were higher than novice supervisors` level· Th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