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가 찬양한 공동체는 법아래서 로마 시민들뿐만 아니라 이민족들 역시 동등한 자유와 평등을 누릴 수 있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법은 다양한 문화와 인종을 동일한 맥락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는 구심점과도 같아서, 다문화적 모자이크를 위한 스케치와 유사하다. 즉, 법이라는 바탕 위에서 각 시민은 자신만의 다양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이러한 법의 공동체 개념을 지지하여 다양한 배경을 지닌 시민들이 법을 준수하고 존중하는 한 그 정체성을 인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이주자나 다문화 가정의 자녀와 같이 소수자뿐만 아니라 다수에게도 이루어져야 한다.
The community which Machiavelli admired had a feature that ethnic citizens were able to enjoy their freedom and equality as well as Roman citizens under the law of Rome. The law was a pivot, so citizens in Rome could live without being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s in cultures or races. Likewise, the law in South Korea can be a sketch(or pivot) for cultural mosaic, since citizens from different ethnicities can enjoy their own identities as long as they respect the law. Thus,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must support this concept, community of the law, so people can accept other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Also, this should be emphasized in education for the majority, as well as minority, such as migrant or multicultura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