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비의 변이에 대한 분석은 의료비의 통제 및 의료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 필수적이다. 의료기관 유형별 진료비의 평균값 및 변이의 분석에 적합한 통계적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0년 9월 11일에서 1991년 2월 9일 사이에 의료보험연합회에서 심사 완료된 사례 중 제왕절개술, 충수돌기절제술, 백내장적출술과 소아폐렴으로 입원 진료를 받은 4개 K-DRGs를 대상으로 ``CC class O에 해당하는 환자의 일부를 무작위 추출하여 의료기관 유형별로 처치 및 수술 진료비의 변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감마 분포를 이용한 평균값과 분산의 동시 모형이 처치 및 수술 진료비의 변동과 관련이 있는 요인의 분석에 유용한 통계적 분석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진료비 병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의 독립적인 효과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외과계 질환의 경우 진료비의 평균값과 단위 수술 진료비당 병동의 크기가 3차 진료기관, 종합병원, 병원의 순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질환인 소아폐렴에서는 수술진료비의 평균은 종합병원, 병원, 3차 진료기관의 순으로, 단위 수술 진료비당 변동은 종합병원,3차 진료기관 병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과계 질환과 외과계 질환 사이에 의료기관 유형별로 진료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세부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료비와 의료의 질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진료비의 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의 규명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요인의 규명과 정책적 노력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심층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이 연구에서 제시한 통계적 모형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practice variations has been one of important issues in trying to contain costs as well as to manage quality in health c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tatistical model for analysing variations in inpatient costs by type of hospitals. Four K-DRGs including Cesarean section, appendectomy, cataract extraction, and pediatric pneumonia with CC class 0 were selected, and means and dispersions of inpatient procedure and operation costs were simultaneously compared between type of hospit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int modelling of means and dispersions by gamma distribution was a very useful analytic tool for identifying factors which might have relationship with variations in inpatient costs. This model can be expand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in analysing cost variations. In surgical conditions, means and unit variations of procedure and operation costs showed consistent pattern which was tertiarty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hospital in descending order. Different findings were identified in pediatric pneumonia, from which mean and unit variation of procedure and operation cost was the highest in general hospital.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difference could not be drawn from this study. It will be done by further sophisticated researches. In order to develop health policy for cost containment and quality management in Korea, it is essential to find out manageable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in practice patterns which includ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providers, regions, and so on. The statistical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give health services researchers useful insights for future investigations in analysing cost vari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