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환자 질병의 중증도 또한 환자에게 요구되는 의료 서비스의 강도를 기준으로 병원에서의 입원 진료가 의학적으로 정당화될 수 잇는지의 여부를 객관적인 기준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부적절한 병상 이용의 발생 규모 및 그 이유와 이에 관련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병상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의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입원, 수술 장소 및 시점의 적절성은 각각 83.5%, 97.3%와 34.7%이었고, 재원일의 적절성은 62.4%이었다. 부적절한 재원의 발생이유는 부적절한 진료 수준, 조기입원, 진단/치료 일정 상의 지연, 수술일정 상의 지연의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입원의 적절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거주지, 진료과, 입원경로 및 재원경로와 재원기간이었다. 재원일의 적절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연령, 내 ·외과계 구분, 입원경로, 재원기간, 재원일의 월 초 ·중 ·하순 여부 및 재원구간이었고 부적절한 재원 이유별로 각각 다른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의 의료 이용 검토 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실증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부적절한 병상 이용의 규모 및 이유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병상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적절성 평가 지침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 이용 검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병상 이용의 효율화 방안 수립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병원별 특성 요인 및 의료비 절감 효과에 대한 규명이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clues to make a plan for efficient hospital bed utilization. Author has tried to estimate the level of appropriateness and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intra-hospital variation of inappropriate bed utilization using modified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of which criteria are based on service intensity and patients` conditions. Systematic random sampling was done from the population of inpatients during one month in one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by concurrent and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and analys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medical services, 83.5% of admission reveals appropriate and the level of inappropriate admiss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y patients` residence, type of department admitted to, admission route, and length of stay. In surgical services, 97.3% and 34.7% are appropriate in lo-cation and timing of surgery respectively. Inappropriate timing of surgery differs significantly de-pending on patients` age, type of department admitted to, admission route, and length of stay. Sixty two percent of hospital days shows appropriate and the level of inappropriateness show marked differences by patients` age, type of services, admission routes, part of the month, part of the stay, and length of stay. Inappropriate hospital days are due to inappropriate level of care, premature admission, improper scheduling of diagnostic or therapeutic procedures, and problems in scheduling surgery in sequence. In conclusion, substantially high proportion of inappropriate hospital bed utilization was con-firmed. To reduce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ternative services with which can replace inpatient services, and to introduc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may include internal peer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