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보건의료원이 설립된 군지역 주민의 의료이용양상 변화 분석
Change of Health Care Utilization Pattern with the Establishment of Health Center Hospital in a District
김수경 ( Soo Kyeong Kim ) , 김용익 ( Yong Ik Kim )
보건행정학회지 2권 1호 147-166(20pages)
UCI I410-ECN-0102-2014-500-001961131

농촌지역 보건의료자원 부족의 해소와 자원의 지역화를 위해 배치된 보건의료원의 설립이 한 지역 내 주민의 의료이용 양상에 미친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보건의료원의 설립에 따른 외래이용의 지역 자체충족율의 변화는 1.1%의 증가만을 보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보건의료원의 기능이 아직 지역 내에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과 동시에 보건지소가 외래의료의 제공자로서의 역할이 충분히 담당하지 못하고 있는데 기인한다. 전체 외래 이용에서 공공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보건으료원의 설립에 의해 커졌으나 보건지소 등의 역할은 오히려 축소된 것으로 나타나 보건의료원이 보건지소 이용자를 흡수한 것으로 보였다. 주민의 외래 이용양상에서 가장 큰 변화는 약국 이용 비율의 감소와 병의원 이용비율의 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보건의료원의 설치보다는 의료보험의 도입 등 아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2) 입원이용의 경우 보건의료원이 연간 입원의 16.8%, 병원급 입원의 약 절반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기초조사에 비해 자체충족율은 20.9%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보건의료원의 설립에 따른 변화를 크게 보여 주었다. 특히 인근 동두천의 입원이용의 상당 부분을 연천군 내로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이용의 자체충족율은 27.1%였는데 과목별로는 내과의 30.4%, 소아과의 42.9%, 산부인과의 5%, 외과의 37.9%, 정형외과의 19.0%가 지역내에서 충족되고 있었고 보건의료원의 경우 내과의 26.8%, 소아과의 42.8%, 외과의 13.8%, 정형외과의 9.5%, 산부인과의 5.1%를 담당하고 있어 부분적인 진료의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보건의료원의 경우 입원이 의사의 의뢰로 이루어지는 비율은 19.2%로 병원급 입원의 의뢰율인 42.9% 보다 낮았다. 3) 약국이용이 감소하고 병의원 이용이 증가하는 외래이용기관의 변화는 대상자의 의료보장 유형 및 연령 그리고 이환질병 및 상병기간에서 대부분 나타나고 있었다. 공공보건의료기관의 경우는 여전히 의료보호 환자의 이용이 컸으며 공교의보 대상자의 이용이 적었다. 방문지역의경우 의료보장 유형별로는 지역의료보험 대상자의 군내, 동일진료권 내 이용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유·소아층과 30대에서 증가했다. 4) 외래이용 기관을 선택하는 동기를 분석했을 때 전체적으로 지리적인 접근성과 치료효과를 지적하는 비율이 높았다. 보건의료원의 경우 일반병원에 비해 지리적 접근성을 지적하는비율이 높았고 치료효과, 시설, 의사의뢰 등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입원기관의 선택동기 또한 ``가깝다``는 요인이 가장 컸으나 외래이용에 비해 시설을 지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보건의료원의 경우 시설이나 치료효과를 지적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농촌지역의 보건의료자원의 부족을 해소하고 의료보험제도의 도입으로 늘어나는 의료이용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립된 보건의료원은 일정정도의 성과는 이루었으나 아직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 지역 주민과 지역 보건의료기관의 신뢰를 얻음으로써 지역 내 자체중족율을 높이고 자원이용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아울러 국가보건의료체계의 하부단위로서 상당수준까지 자체충족적인 지역의료체계의 확보는 특히 일차보건의료 사업단위와 일차의뢰병원 간의 협력과 지원이 전제되는 바, 일차보건의료단위 중 보건지소나 보건진료소의 역할이 축소되어 나타나고 보건의료원에 대한 의뢰율이 높지 않은 것은 극복되어야 할 과제가 될 것이다. 지역에서 빈발하는 건강문제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질환이라기 보다는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병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주민에게 인접해 있는 보건지소나 진료소의 강화를 통하여 일상적인 질환 및 타지역 보건의료기관 이용경향이 큰 만성환자들의 관리와 보건의료원에 대한 체계적인 의뢰가 가능하게 된다면(한림대사회과학연구소, 1990) 보건의료원의 역할이 정착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health center hospital on the health service utilization pattern of the rural population in a county. Two field studies had been conducted in Yonchon County, Kyunggi Province, on February 1989 and on August 1991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nchon health center hospital. This study revealed that Yonchon health center hospital occupied 7.3% of total outpatient visits and 16.8% of hospitalization of the county population and the self-sufficient rate of the outpatient visit and hospitalization of Yonchon County between two field studies increased by 1.7% and 20.9% each. Yonchon health center hospital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public health sector but it weakened the role of health sub-centers. For the efficient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the population in that County, more investment to health center hospital would be needed and the primary health activities of the health subcenter should be enforc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