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고려시대(高麗時代) 나전칠기(螺鈿漆器)의 문양(文樣) 및 제작기법(製作技法) 연구(硏究)
Study on the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Goryeo Najeon-chilgi
김은정 ( Eun Jung Kim )
강좌 미술사 40권 59-94(36pages)
UCI I410-ECN-0102-2014-600-002020369

고려 나전칠기는 현재 출토품 5점에 전세품 15점으로 20여 점 밖에 남아 있지 않지만 나무에 칠을 하고 베를 붙인 후 다시 칠을 올리는 목심저피칠기법과 함께 자개와 대모를 사용한 대모복채법과 모조법, 전복껍질을 갈아 사용하는 박패법 등 고려만의 제작기법으로 독창성을 보인다는데 우수성이 있다고 하겠다.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독자적 제작기법과 조형성 등 고려 나전의 우수성은 『고려사』 『동국문헌비고』 『고려도경』를 통해서도 밝혀졌듯이, 문양의 반복적인 연속 배치로 강한 리듬감을 느끼게까지 하여 품격과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축척된 기술력과 선진문물의 융합 결과로 독자적 나전기법이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고려 나전은 대체적으로 불가 용품인 경함과 원형합, 불자, 귀족용품인 화장용구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시문형식에 따라 단독문, 반복문, 혼합연속문으로 구분되는 문양은 다시 격자문, 뇌문, 원문 등의 기하학적 패턴과 당초문, 국화문, 운문 등과 같은 자연물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려 나전의 조성시기는 대모의 사용이 줄고 점차 나전으로 대체되는 12세기 중엽에서 13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전성기와, 자개와 대모 대신 자개와 금속선을 이용하여 장식기법을 부각시키는 13세기 중엽에서 14세기 중엽의 쇠퇴기, 그리고 나전의장과 기법이 성글고 거칠어지며 조략해져 표현이 대형화되고 약화되는 등 몇 가지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조선 나전으로의 이행기 3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고려 나전에서만 엿볼 수 있는 기법상의 특징은 나전의 끊음질문과 금속선 병용, 대모전복채색 등으로 이를 통해 고려 나전의 우수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비록 20여 점이라는 제한된 현존 자료와 영세한 문헌자료로 인하여 연구목적에는 충분한 접근이 어려웠으며, 실기가 수반되지 못한 연구로 여러 가지 미진함은 있으나 고려 나전의 기형과 문양 및 제작시기, 기법특징에 대한 연구의 시도였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Only about twenty examples of Najeon-chilgi from the Goryeo Dynasty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five unearthed and fifteen preserved. The artistic supremacy of the lacquerware decorated with mother-of-pearl lies in its three ingenious and unprecedented production techniques: the technique of Moksim jophy where a glazed wooden piece is lacquered on a hemp cloth-covered-surface; the techniques of Daemo bokchae and Mojo that uses tortoiseshell in combinaion with mother-of-pearl and finely engraved internal line drawing, respectively; and Bakpaebeop using ground abalone shells. As highly praised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Goryeosa(高麗史, History of Goryeo), DonggukMunheon Bigo(東國文獻備考, Reference Compilation of Materials on Korea) and Goryeo-dogyeong(高麗圖經, Illustrated Book of Goryeo), the splendor of Goryeo `s Najeon lies in the longstanding unique production technique and formativeness. The rhythmic beauty generated by repetitive patterns gives the works value and class. The unique lacquer technique of Najeon is thought to have been the result of convergence between accumulated technology and advanced culture. Goryeo Najeon is typically categorized into Buddhist works like sutra boxes, Buddhist ritual ornaments or caskets, and cosmetics containers for aristocrats. As for the inscribed patterns, it is classified into simple, repeated and mixed ones, and again can be divided into a geometric shape such as grid, key, or circle and a natural pattern like an arabesque, chrysanthemum scrolls or a cloud. Following the changes in expressive technique, the date of produc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from mid-twelfth to mid-thirteenth century, the prime era of Najeon when mother-of-pearl gradually replaced tortoise shell; from mid-thirteenth to mid-fourteenth century, the declining phase when the decorating techniques using mother-of-pearl and metallic wire were highlighted; and from the late fourteenth to mid-fifteenth century, the transition period to Najeon of Joseon Dynasty when the design and technique became coarse while still exhibiting features of Goryeo Najeon. Kkeuneumjil that uses extremely thinly cut pieces or strips of mother-of-pearl, the combined use of metallic wire, and the color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