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시는 농암 이현보로부터 시작하여 만구 이종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중기 이후에 꾸준히 차운되어 왔다. 그리고 107명의 작가가 284제의 작품으로 퇴계시를 차운하였다. 영남 지역 작가 가운데 퇴계 문인인 황준량의 차운시가 53제, 권호문의 것이 26제, 구봉령의 것이 21제나 된다. 이들은 모두 퇴계 생전에 활발히 교유했던 작가들이다. 또한 여타 지역의 문인도 퇴계시를 차운하였는데 서울·경기 지역, 충청지역, 강화도에 이르기까지 각 지역의 문인들이 사승관계와는 상관없이 퇴계시를 차운하고 있다. 이를 통해퇴계시가 영남 지역뿐만 아니라 여타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알수 있다. 이처럼 퇴계시는 영남 지역을 넘어서 전국적으로 여러 문인들에 의해 꾸준히 차운되었다. 이는 차운시를 통해 퇴계에 대한 흠모의 정을 표출하고, 퇴계의 정신을 계승하려고 했기 때문으로 파악할 수 있다.
From Nongam, Lee Hyun-bo to Mangu, Lee Jong-gi,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107 writers have used rhythms of Toegye`s poetry with 284 pieces. Among writers in Yeongnam area, Hwang Joon-ryang as the Toegye school wrote 57 pieces of Chaun Poetry; Kwon Ho-moon 25 pieces; Gu Bong-lyeong 21 pieces. They all are the writers who kept company with lively in his living years. Also writers in other areas have used rhythms and writers in each area, ranging Seoul and Chungcheong area to Ganghwa Island have used rhythms without his followers. This goes to show that Toegye`s poetry has an effect not only Yeongnam area but also other areas. Like this,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by various writers beyond Yeongnam area into all over the nation. With Chaun Poetry, they expressed their affection of adoration about Toegye and we could find out that they tried to succeed the spirit of Toeg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