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과정을 탐구하기 위한 공동연구의 하나로 기획되었다. 필자는 18세기 호락논변에서 제기되었던 ``미발론``을 중심으로 다루면서, 이 논의를 통해 제안되었던 율곡학파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사유의 변화 양상을 탐구하였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제제하였다. 첫째, 미발 혹은 미발심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둘째, 미발심체의 문제는 어떠한 철학적 함의를 갖기에 당대 최고의 지성들이 그토록 치열하게 논란을 벌였는가? 셋째, 그렇다면 미발의 논의를 통해 도출된 학술적 성과는 무엇인가? 필자는 이 글에서 특히 이간이 제안했던 ``리기동실``의 개념이 임성주에 의해 수용되면서 나타났던 새로운 철학적 사유의 근거가 ``심성일치``에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간이 미발의 문제를 다투면서 주장하였던 ``리기동실``의 관점은 임성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임성주는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심성일치의 철학을 전개한다. 이간과 임성주가 제기햐였던 물음과 그응답은 기존의 심성이나 리기 해석과는 다른 것이었다. 그것은 일종의 ``사유의 모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리기동실``과 ``심성일치``의 두 개념이 접속하는 지점에서 이이의 리통기국으로부터 비롯된 ``철학적 문제의식의 변형된 새 모형``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율곡학의 심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research how YIyi School spread and deepened as a team project. I studied the process in which philosophical issues and ideas of the Yiyi School changed in centering on the theory of Mibal(未發論) raised in the Horak Debate(湖洛論爭) in the 18th century. In this paper, I asked several questions. First, what does the theory Mibal or Mibalsimche(未發心體) mean? Second, what philosophical meaning does the theory have for great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Third, what academic outcome does the theory produce? I revealed in this essay that the concept of Likidongsil(理氣同實), which was proposed by Yigan(李東) and was later accepted by Limseongjoo(任聖周), is founded on the idea that our mind is identical with our human nature. Yi Gan claimed the theory in dealing with the issue of Mibal(未發), and LimSeongioo who was influenced by the theory, developed his own theory of SimSeongilchi(心性一致). Their questions and answers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understanding of Liki and human mind nature. They are sort of a ``thought adventure.``I found a new frame of philosophical issues from the common ground where two concepts of Likidongsil and SimSeongilchi enoountered with each other to Yiyi`s Litongkiguk리(理通氣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