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조사의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은 주로 65세 이상이며, 노인정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들 노인들은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고, 의료보장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노인도 3.1%나 되었으며, 배우자와 사별하였거나 노부부만 생활하는 경우도 23.1%나 되었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은 상태로 상담, 이야기시 이러한 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병력을 보면 고혈압을 포함한 심혈관질환, 관절염, 당뇨병, 만성폐질환을 앓고 있고, 이들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입원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정기적인 혈압측정과 함께 이들 질환에 대한 우선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에서는 특히 여성에 있어서 비만의 경우가 많았으며, 표준체중의 80% 밖에 안되는 극시한 저체중도 발견되어 이 두 측면에 대한 운동, 영양상담 및 교육등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정 노인들은 질병문제를 대부분 보건의료기관을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영양제나 보약을 먹는 경우가 많았고,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규칙적인 운 동을 하는 경우는 33%에 불과했다. 노인정 노인들의 보건소 이용을 위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홍보와 활동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정을 통한 노인건강관리를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문제뿐아니라 노인들이 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동시에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를 위해 복지부문과의 연계와 협력이 필요할 것이 다. 또한 보건소 인력만으로 전체 노인정에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며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고 우선적으로 서비스가 필 요한 노인정을 결정하여 건강관리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정에 나올 수 없는 거동불능노인이나 독거노인에 대한 건강관리를 위한 실태파악이 되어야 하며, 10년이나 20년후에 노인이되고, 만성질환을 앓게 될 가능성이 있는 성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