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0-12세 사이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복통(Oh, 1996)의 구급처치 방안으로 수지침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수지침요법은 손을 몸의 축소판으로 생각하여 수지 안에는 인체의 내장이 있고, 14경맥이 있으므로 이를 자극하여 치료 하는 자극요법으로 수지침요법은 상응점에 가는 침(needle)으로 1mm 깊이의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수지침과 같은 상응요법은 수지의 신체 해당부위(상응부)에서 과민 반응점(상응점)이 나타나는 부위에 자극을 주는 방법을 말하므로 수지 안에 있는 복통 상응점을 자극하면 통증이 감소된다(Yoo, 2001). 뿐만 아니라, 수지침은 약물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내성등에 의한 위험 등 일체의 후유증이 없고 질병예방이 가능하며, 효과가 빠르고 시술이 간편하며 경제적이어서 원할 때 즉시 시술이 가능한 요법이다(Kim & Cho, 2001), 그러므로 학교보건실에서 복통완화를 위한 치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학교 보건실에 내방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증완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지침에 의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이 완화되었음을 보여주었고, 객관적인 통증척도 중 발한정도는 수지침 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발한이 감소되었다. 또한 객관적인 통증척도인 안면표정과 음성변화에서는 비록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증완화점수의 감소폭이 컸었다. 이는 간헐성 복통 환아에 대한 수지침의 효과 검증결과 통증 강도가 감소하였음을 보고한 Hong(2005b)의 연구결과 와 유사하였다. 또한 두통완화를 위해 수지침을 시술한 결과 주관적 통증 점수와 객관적 통증 영역 중 음성변화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Cho와 Kang(2004)의 연구 결과와 복통, 요통 등의 증상을 보인 월경곤란증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수지침 요법이 뜸 요법보다 신속한 효과를 나타낸Kim과 Cho(2001)의 연구, 수지침이 여중생의 생리통 자각증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Moon(2003)의 연구결과에서도 수지침이 통증완화에 효과적이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주었다. 그러나 연구자마다 대상자들의 연령층이 각기 달랐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지침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으며, 복통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에 불과했기 때문에 본 연구와 정확히 비교하기는 어려웠다. 통증이란 경험하는 사람이 통증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이나 통증이며 그가 통증이 있다고 말할 때는 언제나 존재 하는 것이다(McCaffery, 1977)고 하여 통증에 관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통증을 측정한다고 하여도 수치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 증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 수지침 요법을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한다면 객관적인 면이 부족해도 본인의 느낌대로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통증이 있을 때 객관적 통증반응 중 안면표정과 음성은 자신의 의지로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지만 발한은 자신의 의지로 조절하기 어렵다. 따라서 통증의 객관적 반응인 발한정도가 감소되었다고 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비록 객관적 통증 반응인 안면표정이나 음성변화에 차이가 없었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수지침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안위 면에서는 수지침 요법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증이 완화되면 신체는 자연히 안락한 상태로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그렇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객관적 통증반응이나 안위 면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지 못한 것은 대상자 수가 적은 것과 대상자로부터 연구의 동의를 얻기는 했지만 침습적인 처치에 대한 두려움이 많은 연령층인 중학생이라는 점 등이라고 보아 앞으로는 대상자 수를 늘리며,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 수지침은 복통환자의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을 감소시키므로 수지침이 복통완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on relieving of abdominal pain. Method: Fifty-five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ained abdominal pai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re were 3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20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Convenience assignment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and acupuncture treatment which was to puncture corresponding points (epigastric pain A8, A12, A16, K9, F4, E42; lower abdominal pain A1, A4, A6, A8, J1, H2) on both the palm and the back of a hand with disposable acupuncture needles, and then to remove them after a 20-30min. recess during the subjects was in supine position on a bed. Result: Degree of subjective pain decreased statistically in the experimental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bjective pain and comfor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and acupuncture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abdominal pain. Therefore, hand acupuncture c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abdominal pain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