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한국노인의 불면증에 대한 이압요법의 적용 효과
Applied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Insomnia for Korean Elderly
석소현 ( Sohyune R Sok ) , 김귀분 ( Kwuy Bun Kim )
UCI I410-ECN-0102-2014-500-001955388

본 연구를 통하여 불면증이 있는 노인의 수면점수가 이압요법을 적용하기 전에는 21.821에서 적용한 후에는 56.464로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수면에 대한 이압요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면에 대한 자기만족 정도도 이압요법을 적용하기 전에는 39.750에서 적용한 후에는 85.285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수면의 자기만족에 대한 이압요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압요법이 수면장애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쳐 불면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임을 재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압요법이 귀를 자극하여 뇌의 수면활동을 증진시키고 심신을 편안하게 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결과는 오장육부의 경락이 귀와 상통하고 있음을 재검증한 것으로 Bae(1995)의 황제내경중 영추의 맥도편에서 신(腎)의 생리적 변화와 병리적 변화 모두가 귀와 상통하고 있다고 한 것과 심장의 생리와 병리변화가 모두 귀와상통하고 있다고 한 소문의 금궤진언론과 영추의 경락편에서 12경락은 모두 이부에 이르러 유주관계를 가지며 양경맥과 합쳐서 이부와 서로 통한다고 한 여러 문헌(Kim & Sok, 2000; Sok, 2001; Lee, 1992; Acupuncture Meridian Department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Korea., 1994; Chae, 1994; Kim, 1995)들과 일맥상통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귀의 혈자리를 자극함으로써 수면에도 효과적임을 재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불면증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를 살펴보면, Kim(1995)의 연구에서는 불면증은 신체적 질병과 심인성 정신장애로 올 수 있으며, 이러한 불면증은 주용혈과 배용혈의 침구치료가 효과적이라고 하면서 불면증에 대한 침의 효과를 언급하고 있다. Lee와 Oh(1999)에서도 불면증의 원인을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요인으로 말하고 있으면서 불면증의 한의학적 치료를 약재사용과 침과 뜸에 의한 경락치료와 더불어 정신적인 안정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Kim과 Sok(2000)의 연구에서도 불면증 있는 노인중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7명에게 이압요법을 적용한 결과 수면 효과가 있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Sok(2001)의 연구결과에서도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않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에 수면점수가 높았고(t=32.739, p=.001),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에 자기만족점수가 높았다(t=30.049, p= .001)고한 결과들과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불면증에 대한 이압요법의 효과를 재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이압요법이 불면증 노인의 불면증 완화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중재술임이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ed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insomnia for Korean elderly. Methods: Design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measure study. Subjects were total 28 elderly with 65 years old and over in appropriate criteria. Experimental treatment was a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during 3 days/a term, and this was applied on 4 series. Measures were sleep measurement (Cronbach``s α= .72) developed by Oh et al.(1998) and self satisfaction measurement on sleep (visual analogy scale) developed by autho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6, and analyzed by SPSS PC+ 12 according to the aims of this study. Results: 1. After receiving th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with 4 series, sleep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40.600, p=.000). 2. After receiving th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with 4 series, self satisfaction scores on slee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54.645, p=.000). Conclusions: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can be a better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insomnia of elderly.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will be able to improve ultimately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elder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