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심리적, 행동적 문제와 기질 및 성격 차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임상집단일 경우에도 진단과 문제의 종류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주호소와 진단, 경과, 예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질적인 집단인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101명의 청소년환자들의 MMPI-A 중 청소년의 적응문제와 관련된 5개 내용척도(소외, 품행문제, 낮은 포부, 가정문제, 학교문제)와 JTCI 12-18 자료를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적응문제 중 학업 및 성취, 학교문제에 있어서는 자율성 성격차원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던 것에 비해, 부모와의 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문제와 그로 인한 소외, 그리고 행동적인 문제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차원은 위험회피 기질차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규모 임상집단을 통해 반복 검증되어야 하겠지만 청소년환자들의 적응수준에 초점을 두고 적응문제와 기질 및 성격 차원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and temperament/character in adolescents was examined according to diagnos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clinical samples or in non-clinical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ment/character for adaptive problems in psychiatric adolescents.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with regard to complaints, diagnoses, progress, and prognoses etc.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MMPI-A content scales (A-aln, A-con, A-las, A-fam, A-sch) and the JTCI 12-18 sub-scale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of achievement level, and school problems to Self- Directedness. However alienation, social relational problems such as conflict with parents, and school problem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Harm-Avoidance. These results should be replicated with larger samples.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with regard to examination of the features of psychiatric adolescents`` temperament/character focusing on adaption not only on psychopat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