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사용하여 사회불안자의 정서(행복 및 분노) 몸짓 인식과정에서의 주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점수를 기준으로 높은 사회불안 집단(19명)과 낮은 사회불안 집단(19명)을 선발하여 행복 및 분노몸짓을 각각 중립몸짓과 짝지어 제시한 후 안구운동을 측정하였다. 안구운동 측정 후에는 실험자극으로 사용된 사진 속 인물에 대해 정서 종류 및 강도, 악의, 위협 수준을 평정하였다. 실험 결과, 높은 사회불안 집단은 자극제시 직후 중립몸짓보다는 분노와 행복몸짓에 주의를 기울였다가 바로 회피하는 전형적인 경계-회피 반응을 보인 반면, 낮은 사회불안 집단은 분노몸짓에 대한 회피반응만을 보였다. 또한, 높은 사회불안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행복몸짓을 더 위협적으로 평정하며 정서몸짓, 특히 분노몸짓의 강도를 강하고 위협적으로 지각할수록 더 강한 회피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높은 사회불안자가 분노와 행복몸짓에 대해 경계-회피반응을 보이며, 정서몸짓을 실제보다 더 위협적으로 지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entional process of emotional (happy and angry) bodily expression recognition of a group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We presented pairs of emotional (angry or happy) and neutral bodily expressions to 17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HSA) and 19 individuals with low social anxiety (LSA) and measured eye-movement. Categorization of emotion and rating for emotional intensity, malice, and threatening level of bodily expression was performed after measurement of eye m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were initially fixated and immediately avoided to happy and angry body compared to neutral body. However, participants in the LSA group showed avoidance toward angry body only. In the subjective rating and categorization,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perceived happy bodily expression as more threatening than those in the LSA group. In addition, participants perceive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s more intense and threatening, they showed greater avoidance of staring at emotional bodily ex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showed a vigilance-avoidance pattern towar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nd perceive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s more intensive and threat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