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180
3.14.5.180
close menu
}
KCI 등재 SCOPUS
단신 : 실리콘의 염소화반응에 의한 사염화규소 제조
Preparation of Silicon Tetrachloride by Chlorination of Silicon
박균영 ( Kyun Young Park ) , 이미선 ( Mi Sun Lee ) , 김민철 ( Min Cheol Kim ) , 이찬희 ( Chan Hee Lee ) , 박회경 ( Hoey Kyung Park ) , 강태원 ( Tae Won Kang ) , 정해성 ( Hae Seong Jeong ) , 한경아 ( Kyoung Ah Han ) , 허원회 ( Weon Hoe Huh ) , 유지철 ( Ji Cheol You )
화학공학 51권 3호 407-410(4pages)
UCI I410-ECN-0102-2014-500-00180827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직경 25 mm의 파이렉스 튜브 내에서 실리콘의 유동층 염소화 반응이 수행되었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질소 유량0.8~1.0 L/min, 염소 유량 0.2 L/min, 반응온도 450℃, SiCl4 응축기의 냉매온도는 -5℃로 설정하였다. 반응기에 도입되는 가스 내 염소의 몰분율이 증가하면 SiCl4의 수율이 증가하였다. 반응가스 중 염소의 몰분율 0.2의 조건에서 SiCl4의 수율은 28% 이었다. 염소의 몰분율 증가는 반응열 상승에 의해 반응온도 상승을 가져옴으로써 안전을 고려하여 염소의 몰분율을 0.2 이상으로 올리지 못했다. 실리콘의 유동층 염소화 반응에 의한 사염화실리콘의 제조 가능성이 입증되 었으며, 향후 보다 가혹한 조건에서의 실용화 연구를 위한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hlorination of a metallurgical-grade silicon was carried out in a fluidized bed reactor, 25 mm in diameter. The flow rate of the chlorine admitted into the reactor was 0.2 L/min and that of the carrier nitrogen was 0.8~1.0 L/ min. The reacto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450℃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at the SiCl4 condenser was at -5℃. The SiCl4 yiel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chlorine in the feed gas, exhibiting 28% at the mole fraction of 0.2. Further increase of the chlorine mole fraction was not attempted in a worry that the reactor might be failed due to the high exothermicity of the reaction. The production of SiCl4 from silicon by fluidized bed chlorination was demonstrated on a laboratory scale, which i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under more severe conditions toward industrial appli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