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국내 아동성폭력범들에게서도 정서인식능력 상의 저하가 확인되는지 살펴보고, 이와 함께 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경향성이 13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자들에게 있어 일탈적인지 탐색하였다. 준거집단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범죄자 14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중 본 범을 기준으로 하여 13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57명과 13세 이상 성인까지를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사람들 82명이 준거집단으로 선정되었다. 정서인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ERT-R을 자극에 대한 일탈적인 성적 기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KASI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미리 예상했던 성범죄자 집단은 ERT-R의 하위척도 상에서는 준거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피해자의 나이가 13세 미만인 성범죄자 집단은 ERT-R 척도 상에서 총점, 정서변별력, 정서적 맥락이해력에서 더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정서 인식능력과 일탈적 반응경향성이 인구사회적 변수나 범죄 관련 변수에 비해 준거집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변별력을 지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ASI의 여아에 대한 응시시간 점수와 남자 성인에 대한 응시시간 점수는 준거집단을 의미있게 변별해주었으나 ERT-R의 척도들은 준거집단의 변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력 상의 개인차보다는 자극에 대한 직접적인 선호도가 성폭력 피해자의 선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결과를 치료장면에 적용 할 때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dysfunctions of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among child molesters and also explored their deviant preference to child related stimulus ,or this purpose, RT-R(Emotional Recognition Test-Revised)and KASI(Korean Assessment for Sexual Interest)were applied to assess sex offenders response characteristics.145 sex offend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response characteristics. under the age of 13 versus 13 years or older. The analyses of variance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riterion groups, as expected. He child molesters whose victims were 13 years of age or older. Also, that group of sex offenders considered as child molesters viewed significantly longer pictures of children compared to their correspondent group. In order to explore relative efficiency among predictors for distinguishing criterion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roduced. The results indicated viewing time on girls` and male adults` photo had strong efficacy to differentiate criterion groups. Child molesters watched girls` photo longer but male adults` photo shorter. However any scores of ERT-R did not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Finall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r therapeutic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