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접수상담 관련 연구와 상담 이론서를 토대로 접수상담에 대한 용어,개념,절차,상담 신청서 내용,상담의 중심 주제 등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접수상담 용어는 첫 상 담,첫 면접,첫 회기 상담,최초상담회기,접수면담,접수면접 등 의미는 비슷하나 제 각각 사용 되고 있었다. 접수상담의 개념은 본 상담 이전에 내담자가 상담을 신청하고 전문상담자를 만나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받는 첫 번째 상담시간 까지를 의미한다. 상담자는 상담에 필요한 내담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담신청서를 요청하여 상담의 효율성을 높인다. 상담신청 서는 내담자 본인이 작성하는 게 일반적이나 아동과 청소년은 부모나 보호자가 대신 적는 경우가 많다. 기록하는 내용은 접수면접에 관한 기본 정보,내담자 인적사항,내담자 개인 정보,주 호소 문제나 스트레스 원인,개인사나 가족관계,상담경험,상담동기,현재 관심사나 삶의 상태,최근의 주요 기능상태 등이 포함된다. 상담의 중심 주제를 살펴보면,내담자의 문제와 증상에 대한 것,합의할 상담목표,상담진행과정과 계획에 관한 것,비밀보장과 상담계약 내용 등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rms, concepts, and process of intake, the contents of letters of application, and the core topics of conversation between a counselor and his dient through literature studies. The term intake refers to the first counseling, the first interview, the first session of interview, a basic interview or an initial interview. The concept of intake means the period of tune starting from the dient`s application of counseling prior to counseling and to the first session of interview a with the professional counselor to resolve the client`s problems. A client will have the initial stage of counseling with a professional counselor on a booked dat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unseling. As for the core topics of conversation between the counselor and his client, this refers to problems, symptoms, and other issues as they relate to the a dient. It also refers to the process of counseling and its plan based on the goal of counseling. It involves confidentiality and the terms of the contract on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