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저색소성 반을 함께 보인 선상태선 1예
Letter to the Editor : A Case of Lichen Striatus Presenting with Hypopigmented Patch
김한수 ( Han Su Kim ) , 송병한 ( Byong Han Song ) , 박은주 ( Eun Joo Park ) , 권인호 ( In Ho Kwon ) , 김광호 ( Kwang Ho Kim ) , 김광중 ( Kwang Joong Kim )
UCI I410-ECN-0102-2013-510-00227321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7세 여아가 수개월 전에 좌측 허벅지에 발생한 선상 배열을 보이는 1∼5mm 크기의 군집성 홍반성 구진과(Fig. 1A), 좌측 아래쪽 하지에 발생한 선상 배열을 보이는 저색소성 반점과 반을(Fig. 1B) 주소로 내원하였다. 두 병변 중 선행 병변은 알 수 없었으며, 통증, 가려움 등 자각증상은 없었다. 환자의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피부 소견 외에 특이소견 보이지 않았다. 일반 혈액, 간/신장 기능 검사에서 이상 소견 관찰되지 않았다. 좌측 허벅지에서 시행한 병리조직검사에서 표피내과각화증, 이상각화증, 극세포증, 세포외유출과 상부 진피 혈관주위와 한선주위에 주로 림프구로 구성된 염증세포 침윤이 있었다(Fig. 2A). 좌측 아래쪽 하지에서 시행한 병리조직검사에서 특이소견은 없었으며(Fig. 2B), S-100 단백 면역조직화학염색과 Fontana masson 특수염색에서 멜라닌 세포와 멜라닌이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Fig. 2C, D). 임상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선상태선으로 진단하고 국소 스테로이드(methylprednisolone aceponate 0.1%, Advantan®) 도포를 시작하였다. 3개월 후 좌측 허벅지 병변은 호전양상을 보였으나, 좌측 아래쪽 하지 병변은 2년 추적 관찰 동안 호전되지 않았으며 현재 추적 관찰이 중단 되었다. 선상태선은 소아에서 호발하는 드문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유아나 성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2∼3배 높은 유병률을 갖는다. 원인은 국소피부 반응설, 바이러스 감염설, 면역설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선상태선 환자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두 질환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보고도 있으나 정확한 병인은 명확하지 않다1,2. 임상적으로 주로 팔, 다리, 체간, 경부에 Blaschko선을 따라 편측성으로 발생하며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소양감이 동반되기도 한다. 피부 병변은 붉은색 또는 피부색의 작은 구진으로 발생하여 서로 융합하면서 선상으로 배열하며, 표면에 미세한 인설이 덮이기도 한다. 선상태선이 저색소 병변을 보이는 경우는 구진 병변이 염증 후 일시적으로 저색소 병변을 남기며 퇴화하는 경우와, 발생 당시부터 저색소성 반이나 판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이다2,3. 이 증례에서는 발생 당시부터 나타난 저색소성 반과 홍반성 구진이 각각 다른 부위에 함께 발병하였는데, 이처럼 선상태선에서 전형적인 구진과 저색소성 병변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드물며 국내 피부과 문헌엔 1예만이 보고되었다4.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비특이적이며 다양한 양상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진피 혈관이나, 모낭과 에크린 한선 주변에 림프구와 조직구 등의 염증세포 침윤을 보이고 이차적으로 표피의 해면화, 이상각화증, 다양한 정도의 염증세포 세포외유출이 관찰된다5. 선상태선은 보통 수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Taieb 등2은 병변의 지속기간은 4주에서 3년까지 다양하나 평균 9.5개월이면 소실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치료는 자연 소실되고 증상이 없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으나, 국소 스테로이드제나 피부건조 방지를 위한 오일이나 피부연화제의 도포가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선상태선이 전형적인 구진으로 나타날 때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선상 표피모반, 선상 편평태선, 선상 광택태선, 선상 건선 등이 있으며, 저색소성 반으로 나타날 때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백반증, 부분 백피증, 탈색 모반, Ito 멜라닌 저하증 등이 있다. 저자들은 7세 여아에서 홍반성 구진과 저색소성 반이 함께 나타난 선상태선 1예를 경험하고 국내 피부과 문헌엔 1예만이 보고된 드물고 흥미로운 증례로 생각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