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설화의 주제를 크게 나누면 ① 겨울(남신)과 봄(여신)의 싸움, ② 풍요 여신의 부재, ③ 풍요여신의 복구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즉 이는 ``富``에 대한 지대한 열망과, 한때의 융성함, 일시적인 쇠락, 다시 부흥(풍요롭게 번창함) 등의 주제로 수렴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한때 흥청거리며 잘 살다가 한동안 쇠락하다가 다시 부흥의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태백의 사회 문화 역사적 배경과 너무도 닮아있다. 설화는 역사의 또 다른 언술방식이라고 했을 때 이러한 주제를 가진 태백 설화나 태백의 역사적 사실이 동일하다는 것은 새삼 놀라운 일은 아니다. 지역설화에는 그 지역민의 원의와 지향점, 사상, 역사, 문화, 집단무의식 등이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태백은 국내 유일의 三水 발원지로 알려진 복된 공간이며, 풍수적 입지에서 보나 자연생태적 측면으로 보나 설화가 지향하는 미래지향적 측면으로 볼 때 생명을 배태, 분출시키는 始原의 공간, 神秘의 공간으로서 초 역사적 입지를 지니며 앞으로 무한히 발전 가능한 공간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측면을 어떻게 활용하여 지역민의 문화 사회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는가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의 고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반이 되는 콘텐츠 개발이 현대의 화두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지역설화를 제대로 분석하고 이해해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도 국문학자들이 해야 할 역할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러한 모든 점을 고려해 볼 때 태백 설화는 그 자체로 스토리텔링의 근간이 된다. 따라서 이것을 기반으로 해서 상상력, 재미 등을 가미한다면 재미, 교훈, 역사와 맞물린 의미있는 스토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태백은 용담, 황지못, 검룡소, 구문소 등 상당히 부가가치가 높은 스토리텔링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다. 이들을 연계하면서 이야기를 만들고 또한 이것을 원소스로 해서 다양한 멀티유스 체계를 수행한다면 좋은 콘텐츠를 많이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특히 태백은 앞으로 ``석탄의 검은 물``을 ``삼수의 맑고도 청정한 하얀 물``로 대체할 필요가 있으며, 이 설화를 재구성해서 문화콘텐츠화를 해야 할 필요충분요건에 놓여있다.
Likewise,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aebaek narrative - 1. A war between Winter (male god) and Spring (female god), 2. Absence of Female God stood for rich or abundance, 3. Showing restoration of the female god stood for rich of abundance. In other words, it is indicated a topic circulated through an eager desire for wealth, prosperousness at a certain period, temporary financial collapse, and restoration again (abundantly flourish). This circulation flow is so much resembled with Taebaek`s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ulture shown that it had spent good time in sometime past and became decayed for a while then sought for will of restoration. It is not surprised that Taebaek narrative with topic explained above is identical with historical truth of Taeback once narrative is considered another method of discourse. In a regional narrative, it contains the local people`s original intention, directing point, idea, history, culture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so on. Considering all the facts, Taebaek is a blessed place and known for the sole source of called as ``three water`` in Korea. Moreover,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is unlimited place for development in the forthcoming future when it is perceived in an aspect of geology and natural ecology and it can be seen as an origin of place for life birth and mysterious place due to the super-historical position. A matter now is how to prepare a foundation to help local people in culture, society and economics. To considerate all the facts, the Taebaek narrative is allowed to be cornerstone for a storytelling by itself. Therefore, if added imagination and fun on the narrative, it will be able to make meaningful storytelling which can be brought fun, lesson, and history background. A place of Taebaek is well equipped for storytelling as for the places like Yongdam, Hwangji Pond, Geomryongso and Gumoonso so on. Once utilizing all the famous places as a one source and maintaining the multi-use system, it is confident that lot of good contents can be developed. Particularly, Taebaek is required that ``black water from coal`` should be replaced by ``purified white water`` which is on the place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cultural contents to restruct the narrat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