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한방간호 연구동향 분석
Trend of Oriental Nursing in Korea
이향련 ( Hyang Yeon Lee ) , 조결자 ( Kyoul Ja Cho ) , 강현숙 ( Hyun Sook Kang ) , 신혜숙 ( Hye Sook Shin )
UCI I410-ECN-0102-2013-510-002472095

본 연구는 한방간호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상논문은 1990년부터 2003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되고 수집 가능한 한방간호관련논문 124편으로 논문의 특성과 발표년도별 논문출처, 연구설계, 실험연구의 중재효과, 문헌연구의 연구개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방간호연구는 90년 이후 연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5-99년에 논문의 발표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90년대 이후 학위논문의 수도 증가되었으며 대상 논문의 1/3이 학위논문이었다. 2. 연구설계는 비실험연구인 조사연구, 상관관계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1990년 이후에 많이 발표되었다. 다음으로 실험연구가 많았다. 연구설계와 발표년도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즉 2000년 이전에는 비실험연구가 2000년 이후에는 실험연구가 많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연구설계와 논문출처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즉 실험연구는 학회지, 비실험연구는 기타 학술잡지에, Q방법론은 학위논문에, 문헌연구는 기타 학술잡지에 주로 게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실험연구에서 사용된 간호중재는 내부자극인 단전호흡, 기공체조, 요가운동, 지시적 심상요법, 향기요법, 외부자극인 추나를 이용한 침상운동, 경피전기신경자극, 삼음교지압, 마사지(추마, 경락, 손, 발), 이압요법, 부항요법, 뜸요법, 수지침요법, 섭취 방법인 사상체질식이,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만성질환자가 가장 많았고 간호중재의 효과는 대다수가 생리적 효과, 일상생활 동작, 통증완화로 검정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다. 5. 문헌연구의 개념은 기, 한방간호, 양생, 질병의 한의학적 관리 등이었으며 이들 개념은 한방간호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개념으로 한의학과 간호학의 유사한 사고의 관점을 확인하는 한편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간호의 중요성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00년 이전에는 비실험연구와 문헌연구, 2000년 이후에는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험연구는 다양한 한방 관련 간호중재의 실험처치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고 문헌연구에서는 한방간호정립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측면의 고찰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방간호이론 구축을 위해서는 한방 간호와 관련된 많은 질적연구가 요구되며, 또한 양생과 관련된 간호중재 개발과 함께 실무적용을 일반화하기 위해 이에 대한 효과 규명을 위한 반복적인 많은 연구, 그리고 한방 간호중재의 안정성과 효과성에 대한 통합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Method: 124 articles about oriental nursing from 1990 to July 200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rticles` characteristics, sources by publication period, research design, nursing intervention effect of experimental study and concept, and content of literature review. Result: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has progressively increased by year from 1990, and that of articles was the highest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5 to 1999. 2. The majority of research design were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ies,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in the before 2000. But experimental design were used in the after 2000. 3. Nursing intervention us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were Dan Jeon Breathing, Qigong, Yoga, Guided Imagery, Aroma therapy, San-Yin-Jiao(SP-6) Pressure, Percutan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Massage(Meridian Point, hand, foot, etc.) Chuna-Bed Exercise Program. Diet for Sasang Constitution etc. 4. The key concept of literature review articles is ki(energy), oriental nursing, health promotion, oriental medicine management of illness etc. Conclusion: The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shows a tendency that the study has increased by year. Especially, experimental study proved affirmative effect. Besides in the literature review, inquiry of theories and practical perspective, which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was introduced. However,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more experimental and qualitative studies are to be requir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